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활동 과정, 훈습

working through

working through 활동 과정, 훈습: 정신분석 상담에서 반복, 정교화, 확장으로 구성된 활동을 실시하는 과정. 대상자의 갈등과 방어를 살펴보고 이를 스스로 깨닫도록 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해낼 때 까지 해당 활동들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psychoanalysis 참조.

세상사 지식

world knowledge

world knowledge 세상사 지식, 세상지식: 한 개인이 특정 사건에 대해 반복된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갖게 되는 일반화된 지식을 일컫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사건에 대한 자서전적이고 경험적인 이해로,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해석을 반영한다.

세상지식

world knowledge

world knowledge 세상사 지식, 세상지식: 한 개인이 특정 사건에 대해 반복된 경험이나 학습을 통해 갖게 되는 일반화된 지식을 일컫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사건에 대한 자서전적이고 경험적인 이해로, 개인적이고 문화적인 해석을 반영한다.

단어와 어형변화

WP(Word and Paradigm)

WP(Word and Paradigm) 단어와 어형변화: morphology 참조.

쓰기

write

write 쓰기, 작성하기: 읽기에 반대되는 과정. 자료가 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로 전송된다. 자료가 디스크에 이미 저장되어있다면, 디스크에서 불러내어 읽을 수 있다.

작성하기

write

write 쓰기, 작성하기: 읽기에 반대되는 과정. 자료가 디스크와 같은 저장장치로 전송된다. 자료가 디스크에 이미 저장되어있다면, 디스크에서 불러내어 읽을 수 있다.

쓰기

writing

writing 쓰기, 작문: 철자운용과 작문표현을 포함하는 언어기술 중에서도 매우 복잡한 영역이다. 언어적 전달 내용을 기호로 전환하는 과정이며, 언어의 소리를 정확한 철자 형태를 갖춘 문자 기호로 나타내는 과정으로 단순히 글자를 쓰는 낮은 수준의 능력에서부터 자신 생각을 표현하는 높은 수준의 능력에까지 그 범위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글자 쓰기(handwritings), 철자 쓰기(spelling), 작문(written expression-composition)세 영역으로 분리하여 살펴볼 수 있다. 즉, 쓰기를 통해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구어기술과 읽기기술을 적용하여야 하고, 주제에 대한 생각을 조직화 할 수 있어야 하며,단어를 쓰면서 제대로 필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아동은 정신적으로 충분히 성숙되어야 하고, 쓰기에 대한 학습의욕과 욕망을 가져야 한다. 또한 눈-손 협응, 운동 협응, 시각-공간 방향정위, 시각변별, 시기억, 자신의 신체와 주변공간을 관련시키는 능력,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는 개념, 손 선택능력 등을 발달시켜야 한다.

작문

writing

writing 쓰기, 작문: 철자운용과 작문표현을 포함하는 언어기술 중에서도 매우 복잡한 영역이다. 언어적 전달 내용을 기호로 전환하는 과정이며, 언어의 소리를 정확한 철자 형태를 갖춘 문자 기호로 나타내는 과정으로 단순히 글자를 쓰는 낮은 수준의 능력에서부터 자신 생각을 표현하는 높은 수준의 능력에까지 그 범위가 매우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글자 쓰기(handwritings), 철자 쓰기(spelling), 작문(written expression-composition)세 영역으로 분리하여 살펴볼 수 있다. 즉, 쓰기를 통해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구어기술과 읽기기술을 적용하여야 하고, 주제에 대한 생각을 조직화 할 수 있어야 하며, 단어를 쓰면서 제대로 필기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아동은 정신적으로 충분히 성숙되어야 하고, 쓰기에 대한 학습의욕과 욕망을 가져야 한다. 또한 눈-손 협응, 운동 협응, 시각-공간 방향정위, 시각변별, 시기억, 자신의 신체와 주변공간을 관련시키는 능력,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는 개념, 손 선택능력 등을 발달시켜야 한다.

작문능력

writing ability

writing ability 작문능력: 작문이란 문자를 통하여 자기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하며, 의미를 발견하고 창조하는 행위이다. 작문능력이란 작문의 길이, 구문 성숙도, 정확성, 작문 내용 수준의 변화를 말한다. 작문과정에서는 글씨, 맞춤법, 단어의 선택, 문장구조, 문장의 연결 관계, 글의 조직, 문체, 글을 쓰는 목적,예상되는 독자의 반응 등에 대한 문제해결 능력과 작자, 독자, 텍스트, 사회적 맥락,담화 관습, 사용 언어 등에 대한 의미 협상 능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