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제로형태소

zero morpheme

zero morpheme 제로형태소, 영 형태소: 단수형에서 복수형으로의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복수 결합형태소의 어미변화. 예) sheep(단수와 복수형태가 동일함). morpheme 참고.

영 형태소

zero morpheme

zero morpheme 제로형태소, 영 형태소: 단수형에서 복수형으로의 변화가 없는 것을 나타내는 복수 결합형태소의 어미변화. 예) sheep(단수와 복수형태가 동일함). morpheme 참고.

말더듬 없는 구어

zero stuttering

zero stuttering 말더듬 없는 구어: 말할 때 말더듬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비록 말더듬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조절된 유창성(controlled fluency) 수준의 화자는 말을 할 때마다 자신의 말을 모니터링하여 조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조절된 유창성 상태 및 말더듬에서 자유로운(stutter-free) 상태, 자발적인 유창성(spontaneous fluency) 수준일 때 말더듬 없는 구어가 가능하게 된다.

영초 시간 지연법

zero-second time delay

zero-second time delay 영초 시간 지연법: 선행자극과 정반응을 보이도록 하는 촉구의 제시가 이루어지는 사이의 시간 길이.

투명대

zona pellucida

zona pellucida 투명대: 점막하 구개열(submucous clef palate)의 징후 중 하나로 구개거근이 비정상적인 위치에 삽입하여 연구개 중간 부위에 있는 푸른빛을 띠는 부위. 이 부분은 근육이 부족하여 연구개가 얇고 투명하게 보인다. 얇은 연구개는 VPI(velopharyngeal insufficiency)가 없는데도 소리 에너지를 통과시켜 비강공명이 일어나도록 한다. 

근접 발달 지대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근접발달영역, 근접 발달 지대, 학습잠재력: 현재의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간격을 뜻한다. 이 근접 발달 지대는 교육에 의해 확장되고 내면화되며,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이 대화와 수업에서 언어의 역할이다. 또한 이 근접 발달 지대는 또래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된다고 생각하고 아동 간의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중시한다. 레프 비고츠키가 제시한 아동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아동이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자신보다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으면 할 수 있는 과제의 범위를 말한다. 아동이 새로운 인지발달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이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활동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근접발달영역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근접발달영역, 근접 발달 지대, 학습잠재력: 현재의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간격을 뜻한다. 이 근접 발달 지대는 교육에 의해 확장되고 내면화되며,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이 대화와 수업에서 언어의 역할이다. 또한 이 근접 발달 지대는 또래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된다고 생각하고 아동 간의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중시한다. 레프 비고츠키가 제시한 아동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아동이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자신보다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으면 할 수 있는 과제의 범위를 말한다. 아동이 새로운 인지발달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이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활동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학습잠재력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zone of proximal development(ZPD) 근접발달영역, 근접 발달 지대, 학습잠재력: 현재의 발달 수준과 잠재적 발달 수준 간의 간격을 뜻한다. 이 근접 발달 지대는 교육에 의해 확장되고 내면화되며, 이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이 대화와 수업에서 언어의 역할이다. 또한 이 근접 발달 지대는 또래 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창조된다고 생각하고 아동 간의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중시한다. 레프 비고츠키가 제시한 아동의 인지발달 이론에서 제시된 개념으로, 아동이 혼자서는 할 수 없지만, 자신보다 유능한 타인의 도움을 받으면 할 수 있는 과제의 범위를 말한다. 아동이 새로운 인지발달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이 근접발달영역 안에서 정교한 교수활동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광대뼈

zygoma

zygoma 관골, 광대뼈: 뺨의 융기부를 이루고 있는 두개골 뼈로, 전두골, 접형골, 측두골 및 상악골과 연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