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leration 가속, 속진: 학생들이 가급적 신속하게 교육체계의 과정을 수료하도록 하는 것. 일반적으로 우수아 및 영재아에게 사용되는 교육적 접근방법으로서 고학년의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
festination 가속 보행: 파킨슨병 등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걸을 때 무의식적으로 보폭이 짧고 빨라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acceleration-deceleration injuries 가속-감속 손상: 극심한 움직임과 직후의 감속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상. 특히 두부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로 인한 뇌손상은 머리 움직 임으로 적용된 물리력이 원인이다
acceleration 가속도, 가속 현상: 1. 속도 벡터가 단위시간 동안 얼마나 변했는지를 나타내는 벡터량. 2. 현대 청소년의 신체적 발달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현상. 앞세대의 청소년보다 뒷세대의 청소년 쪽이 성장 가속 및 성숙 조기 진행의 경향이 있다.
nonacceleration injuries 가속없는 손상: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은 머리에 적용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뇌의 손상.
singer's nodules 가수결절, 성대 결절: singer's nodes 참조.
singer's nodes or nodules 가수결절, 성대결절: 가수, 교사 등의 직업인, 특히 여성 음악가에게 흔히 나타나는, 성대에 발생하는 작은 결절. 성대결절, 결절성 성대염이라고도 한다. 발성법이 잘못 되거나 성대를 혹사함으로써 생긴다. 좁쌀만한 크기로부터 쌀알만한 크기이며, 원형 또는 원뿔형을 하고 있다. 성대의 앞 1/3과 중간 1/3의 경계 부분에 좌우대칭으로 발생하는 수가 많다. 증세는 노래를 부르면 약간 쉰 소리가 나는 경증에서 말하기조차 곤란할 정도의 심한 증세까지 있다. 치료법은 약물치료와 심하면 수술로 결절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중요한 것은 바른 발성법으로 소리를 내는 습관을 기르고 성대를 너무 혹사시키는 행위는 피한다. 보통증세에는 침묵요법을 하고 만성후두염인 경우에는 치료를 해야 한다. laryngeal anomaly 및 vocal nodule 참조.
chest voice 가슴 음성, 흉성: 비강공명이 부족한 음성. 무거운 음성(heavy voice)
reversibility 가역성: 1. 현존하고 있는 발달이 변화 또는 가역될 수 있는 정도. 2. 아동이 구체적 조작기에 들어갔을 때 발달하는 논리적 사고방법의 특징 중의 하나. 경험적이거나 개념적인 의미에서, 일단 일어난 행위를 거꾸로 원상태로 돌릴 수 있는 능력을 기술하는 용어. 3. 수화 언어의 반의어에서 관찰할 수 있는 특성. 가령 ‘밝다/어둡다’의 반의어는 수화에서 수형은 같고 수향이 반대가 된다. 그러나 구어에서 ‘사전/전사’가 조음의 견지에서 가역성을 띄지만, 이 둘은 반의어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