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ersible sentences 가역적 문장: 주어와 목적어가 바뀌어도 의미가 통할 수 있는 문장이다. “소년이 보고 있는 소녀는 키가 크다.”와 같은 문장이 그 예이다.
reversible mental operations 가역적 심적 조작: 아동에게 변화를 다시 뒤집거나 없었던 일로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해주는 것.
pseudobulbar 가연수: 뇌간에 손상을 입은 후 관찰되는 증상과 유사한 상태이나 실제로는 다른 원인에 의해 야기된 것이다.
pseudobulbar affect 가연수 증상: 개인이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는 별개로 나타나는 조절할 수 없는 웃음 또는 울음이며, 말운동장애 중 경직형 마비말장애에서 가장 흔히 나타난다.
extraneous variable 가외변인: 실험자가 조작하는 독립변인 이외의 모든 변인을 가외변 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자료수집이나 결과 해석에서 연구에 혼입되지 않도록 통제변인으로써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gaussian curve 가우스 곡선: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gaussian distribution 가우스 분포: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
gaussian noise 가우스 소음: 백색 소음(white noise).
Gower's sign 가우어 증상: Duchenne 근발육이상(muscular dystrophy)에서 발견된 증후(dystrophy 참조). 이 질병을 앓는 동안, 환자는 앉은 자세에서나 누운 자세에서 일어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가우어 증상은 선 자세를 확립하기 위해 환자가 사용하는 수단들이다. 환자는 손과 무릎을 말아서 자신을 위에서 당기고, 그의 손과 발의 튼튼한 기초를 잡을 때까지 밀어 올린다. 마지막 단계는 그가 바른 자세로 설 수 있을 때까지 그의 손을 향해 그의 발을 옮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