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가음성 반응, 거짓 음성 반응

false negative response

false negative response 가음성 반응, 거짓 음성 반응: 청력검사 시 피검자가 실제 자극음을 듣는데도 반응에 실패해서 못 듣는 것으로 측정되는 경우. responses 참조.

가음성(假音聲), 가성

pseudovoice

pseudovoice 가음성(假音聲), 가성: 후두를 잃은 사람이 훈련에 의하여 내는 음성. 일부러 만들어 내는 거짓 목소리. 정식이 아닌 음성 (반대말 진음성).

가정 문해능력

family literacy

family literacy 가정 문해능력: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문해경험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문, 잡지, 책읽기, 독서목록, 짧은 메모, 편지, 컴퓨터, 스마트폰 사용, 은행 ATM 활용능력 등이 포함된다.

가정 수화

home sign

home sign 가정 수화: 청각장애 아동이 수화에 노출되지 않을 때 의사소통을 하기 위하여 만들어내는 제스처 의사소통 체계로 청각장애인이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수화.

가정 연습

home assignment

home assignment 가정 연습: 전이에서 예비적인 단계가 가정연습이다. 말더듬 치료를 예로 들면, 가정연습은 환자가 확립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매일 읽기와 독백, 및 대화를 훈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는 전이기간 동안에는 집에서 훈련하는 것을 점차 줄이고, 유지기간 동안에는 필요한 때만 훈련을 한다. 가정연습은 관찰자의 역할을 하는 환자, 부모 또는 배우자와 함께 가정에서 임상적 절차를 다시 반복하는 것을말한다. 환자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임상 세팅에서 배운 것을 다른 곳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 훈련은 임상가가 모니터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는 자신의 가정연습을 테이프에 녹음하거나 적어도 가정연습을 한 시간과 더듬은 단어의 빈도를 기록해야 한다. 환자는 더듬은 단어를 헤아리지 않고 가정연습에 참여하게 되거나 가정연습 활동의 실행 시간에 말을 더듬은 단어를 헤아리는 것을 배운다. 클리닉 또는 학교에서의 확립 프로그램에서 읽기를 한다면 그들은 치료실 밖인 가정에서 매일 5분간 읽기 연습을 해야한다. 클리닉에서 독백 단계에서 치료하고 있을 때, 그들은 이제 읽기 연습을 반으로 감소시키고 독백 연습에 5분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대화 단계에 있을 때, 그들은 읽기와 독백을 각각 2분으로 줄여 말하고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대화를 하는 데는 5분간을 덧붙일 수 있다. 환자와 처음 만날 때 지속적인 가정연습이 치료 프로그램에서 절대적이라는 것을 설명하면, 가정연습을 지속적으로 하도록 하는데 종종 충분한 격려가된다. 환자에게 각 회기마다 가정에서 녹음한 것을 가져오도록 요구하며 각 회기를 모니터하고 환자에게 치료사가 관찰한 것을 알려준다. 이것은 환자에게 그들이 행한 것에 대한 강화를 주는 것이 되고, 그들의 정확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가정 치료, 가족 치료

familial therapy

familial therapy 가정 치료, 가족 치료: 개인의 심리적 장애와 문제가 가족 간의 부적응으로 인해서 생긴다는 전제하에 가족 간의 상호작용에서 발달되는 여러 가지 부적응 현상을 치료하는 집단치료의 일종으로 가족상담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가족치료는 가족들이 서로 지니고 있는 감정을 명백히 하고, 이를 표현하여 서로의 이해를 증진하게하며, 공동의 문제를 합리적이고 현실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있다. 가족이 치료사에게 정규적으로 방문하며, 치료사는 가족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관찰한다. 가족 구성원 각자는 서로의 상호작용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들을지도받는다. 치료사도 비슷한 이유로 그 가정을 방문할 수도 있다. 부모들이 자녀들과비지시적인 놀이시간을 구성하도록 훈련하는 접근방법으로 원래 정서장애 아동들을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심리치료 방법은 부모들과 약간의 개인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내면에서 어떤 갈등을 경험하는 어린 말더듬인들을 위하여 가정에서 보다 건강하 긍정적이며 정서적인 분위기를 촉진시키는 이점이 있을 것이다.

가정법

subjunctive mood

subjunctive mood 가정법: 사실에 반대되는 서술(예, "If I were …"), 양보에 대한 가정(예, "Be it as you say…"), 또는 불가능에 관한 서술(예, "If this were the case…") 등을 나타내는 법. mood 참조.

가정언어

home language state

home language state 가정언어: Stages in Children's Second Language Learning 참조.

가정적 자아존중감

family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가정적 자아존중감: 개인이 가족 내부에서 자신의 가치와 존재감을인식하는 정도. 이를 통해 가족의 기능적 상호작용 정도를 가늠할 수 있고, 가족 내에서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인지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가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