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구두언어 실어증

verbal aphasia

verbal aphasia 구두언어 실어증, 구어 실어증: 말하기 위해 단어를 형성하는 것에 어려움을 나타냄. Broca's aphasia 참조.

구두언어 지수

verbal quotient(VBQ)

verbal quotient(VBQ) 구두언어 지수: 구두언어적인 것 즉, 말을 사용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인간 지능의 중요한 일면으로 언어의 이해와 사용을 생각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학적 관점에서 볼 때, 모든 지적능력에 관한 검사내용들은 구두언어적인 것들(말을 사용하는 것)과 비구두언어적인 것들(말을 사용하지 않는 것)로 양분될 수 있다. VBQ는 읽기 및 쓰기와 매우 상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래픽 구두언어 능력(graphic verbal ability)에 대해서도 예측력이 높다는 것을 제시하여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사고, 추론 및 말하기 등에서 능숙하게 단어들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한 풍부한 어휘를 가지고 있으며, 수용할 수 있는 문법을 사용한다.  

구두언어, 구어

spoken language

spoken language 구두언어, 구어: 1. 구어 즉, 입으로 이야기하는 말. 2. 보다 정확하게는 쓰인 말을 소리를 내어 발음하는 것인 낭독을 의미한다. '구어'와 '문어'의 개념은 '음성언어' '문자언어'의 개념과 대응되는 것은 아니다.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는 의사표현의 수단에 따라 구별되는 것인데, 구어와 문어의 개념은 언어이동상(용어, 통사, 구조, 문체 등)에 따른 구별이다. 문자로 표기된 문장일지라도 언어의 양상이 일반회화에 사용되는 것이면, 그 문자의 언어는 '구어'인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음성으로 표현되는 언어일지라도, 그것이 문장에서나 사용되는 언어 양상으로 된 것이면 '문어'에 해당되는 것이다. 그런 뜻에서 '구어'는 주로 '구어문' '구어체'와 같이 일반회화에 쓰이는 언어양상으로 기록할 문자 혹은 문체를 가리키는데 흔히 사용된다.

구두언어의

verbal

verbal 구두언어의, 구어성, 준동사: 1. 말의, 말에 나타낸, 말로 하는, 특히 말로 하는 단어를 의미하는 것. 2. 변형문법에서, 독립된 품사는 아니지만, 문장에서 어미와 용법에 따라 또 다른 품사로서 기능을 하는 특별한 형태의 동사로 부정사, 동명사, 분사의 세 유형이 있다.

구두의사소통

oral communication

oral communication 구두의사소통: 말을 함으로써 개인 간에 의미가 교환되는 프로세스. aural rehabilitation에서 oral-aural method 참조.

구두점

punctuation marks

punctuation marks 구두점: 글의 여러 가지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점(,), 온점(.), 물음표(?), 쌍점(:), 쌍반점(;), 줄표(--), 붙임표(-:) 등의 부호.  

구디나프 인물화 검사

Goodenough Harris Drawing Test

Goodenough Harris Drawing Test 구디나프 인물화 검사: 5~13세 피검자가 자발적으로 그린 사람형체 그림을 평가함으로서 지적요인들에 대한 연구. 그림을 채점하는데 51점 척도를 사용한다. 이 검사는 3:0-13:0세의 연령 범위에서 사용하며, 아동에게 남자, 여자 혹은 자기 자신의 그림을 그리도록 요구하는 검사이다. 그림묘사의 복잡성이 증가됨에 따라 50개 항목에 관하여 채점한다. 이 검사는 일반적인 발달 및 인지 발달을 비교적 빨리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소근육 운동 협응이 채점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신체장애인들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타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구륜근

orbicularisoris

orbicularisoris 구륜근: orbicularis oris muscle 참조

구륜근, 입둘레근

orbicularis oris muscle

orbicularis oris muscle 구륜근, 입둘레근: 입술의 주요 근육 중 하나로 타원형의 띠 모양을 한 섬유질로 이루어진 괄약근. 이 근육이 수축하면 입술이 모이게 되고, 동그랗게 또는 앞으로 돌출하게 하여 /ㅍ, ㅂ, ㅁ, ㅗ, ㅜ/ 등의 음을 산출할 수 있다. muscles of facial expression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