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각수준

sensation level(SL)

sensation level(SL) 감각수준: 청각학에서 피검자의 청력 역치 위에 있는 어떤 음의 강도를 피검자가 받아들이는 강도 측정치. 이것은 dB로 측정된다. 예를 들면, 만약 청력역치가 60dB HL(청력수준)이고 어떤 음을 90dB HL에서 제시한다면, 감각수준은 30dB SL이 될 것이다.

감각신경성 난청, 감각신경성 청력손실, 감음 신경성 청력 손실

sensorineural hearing loss

sensorineural hearing loss 감각신경성 난청, 감각신경성 청력손실, 감음 신경성 청력 손실: 내이 안에서 신경충동을 일으키는데 문제가 있거나 신경충동을 뇌간을 거쳐 청각 피질로 전달하는 데 문제가 생겨 청력이 손실된 형태. 달팽이관의 손상으로 인한 청력 손실. 이것은 보청기 착용을 통해서만 청력이 개선될 수 있다. 감각신경성 청력손실자들은 자신의 음성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종종 너무 큰 소리로 말을 하게 되고, 가끔 현기증과 이명을 겪게 된다. 이들은 말소리를 듣는데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데, 특히 소음이 있는 장소에서나 여러 사람들과 대화를 할 때 더욱 더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기도-골도 차이(air-bone gap)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경도에서부터 중도에까지 걸쳐 청력손실의 정도는 다양하다. conductive hearing loss 참조. 

감각신경성 농

sensorineural deafness

sensorineural deafness 감각신경성 농: 내이 혹은 내이에서 뇌간까지의 신경 통로에 병리학적 상태로 인해 발생하는 청력손실. 병변의 부위에 따라 와우 또는 와우 후반부에 있을 수 있다. 

감각신경의

sensorineural

sensorineural 감각신경의: 감각을 신경이나 신경 조직에 가지고 있거나 전달하는 것. 

감각우세

sensory dominance

sensory dominance 감각우세: 감각정보의 특정형태에 집중하는 경향. 

감각운동

sensory motor

sensory motor 감각운동: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 또는 전신의 수동적, 능동적 운동에 대해 신체 내부에서 수용하는 감각의 총칭. 일정 공간에서 외부 물질이나 자체의 운동에 대한 감각의 총칭으로 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시각, 촉각, 유동각 등의 기능도 포함된다. 척추동물에서 팔, 다리의 운동감각은 위치각뿐만 아니라 사지의 골격운동에서도 민감하며 아주 작은 운동의 경우 크기나 방향 판별은 못하지만 운동 사실은 정확히 느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후두와 안구에는 운동감각이 부족하거나 전혀 없다. 능동적 운동의 경우에는 역각이 가해지므로 역치가 어느 정도 저하된다. 이러한 운동감각과 위치각을 합하여서 넓은 의미의 운동감각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감각운동

ensorimotor

ensorimotor 감각운동: 감각 입력과 운동 활동의 산출을 통합하여 나타내는 것. 운동 활동은 감각기관에 일어나고 있는 것을 반영한다.

감각운동 궁

sensorimotor arc

sensorimotor arc 감각운동 궁: 반사궁. 

감각운동 기법, 감각-운동법

sensory motor approach

sensory motor approach 감각운동 기법, 감각-운동법: 음성학적 조음치료 기법 중 하나로 말의 기본 단위는 음절이라고 가정하여 음절수준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기법. 이 기법에서는 오류음소라고 하더라도 어떤 문맥에서는 쉽고 정확하게 산출 가능하기 때문에 음절구조를 조절하여 정반응을 촉진시키고, 정확한 발음에 대한 감각을 익히게 한다. 음성학적 조음치료가 대부분 음소수준에서 치료를 시작하는 것과는 대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