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정, 정서

emotion

emotion 감정, 정서: 느낌보다 더 강한 복합적 반응으로, 행동과 정신적 변화 및 명확한 실재를 향하는 변화 모두에서 증거로 나타난 동기 및 불안의 각성된 정신상태 혹은 감 정 상태를 포함한다.

감정반영하기

reflecting feeling

reflecting feeling 감정반영하기: 메시지 안에 포함되어 있는 정서를 반영하는 기술. 메시지의 내용을 강조하는 바꾸어 말하기와 차이가 있다. 

감정부전 장애, 기분부전 장애

dysthymic disorder

dysthymic disorder 감정부전 장애, 기분부전 장애: 만성적인 우울한 상태를 보고하는 장애. 자존감이 낮고 우울한 감정을 자주 겪는다. 우울증에 비해 증상이 더 다양하거나 정도가 더 가볍다. 식욕부진 혹은 식욕과다와 같은 섭식 문제와 수면 문제를 겪을 수 있다. 이러한 부분으로 인해 사회생활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dysthymia 참조.

감정의 활성화 이론

activation theory of emotion

activation theory of emotion 감정의 활성화 이론: 뇌파 검사(electroencephalography)를 통해, 감정을 망상체의 신경 흥분과 관련된 대뇌 피질 및 시상의 변화로 측정할 수 있다는 이론.

감정이입(感情移入), 공감

empathy

empathy 감정이입(感情移入), 공감: 다른 사람의 심리적 상태를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거나 다른 사람의 감정, 욕구, 사고, 행위들을 이해하는 능력이다. 공감의 역량 은 유아가 아직 말을 시작하기 이전에 어머니와 유아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과 관 련되어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타인이나 자연물 또는 예술 작품 등에 자신의 감정 이나 정신을 이입시켜 자신과 그 상물과의 융화를 꾀하는 정신작용이다. J. P 슈피겔 과 P. 마호토카는 학생에게 고갱의 그림 <시장>을 보여주고 그림 속에 있는 6명의 여인 의 자태에서 무엇을 느끼는가에 하여 질문을 하였다. 결국 동일한 자태를 보고도 여 러 가지 해석이 나오는 것을 알았다. 즉 보는 사람의 감정이 이입된 것이다. 심리학에 서 사용하는 주제통각검사도 감정이입 작용에 기초를 둔 것이다. 언어치료에서 말더듬 성인을 치료할 때, 언어치료사가 일반적으로 환자 중심, 비지시적 절차를 사용하여 환 자가 과거사, 상처, 좌절 등을 말할 때 그가 말하고 있는 것을 치료사가 이해한다는 것 을 반영한다. 그러나 말하는 것이 너무 어렵거나 불쾌하여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할 경우 이러한 환자를 신하여 언어치료사는 말해야 한다. 치료사는 환자 의 불안, 수치심, 분노 등을 말로 나타낼 수 있도록 돕게 되는 것이다.

감정적 관점이해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감정조망수용, 감정적 관점이해: 자기 자신의 관점과 타 인의 관점을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여 타인의 생각, 감정, 지식 등을 그 사람의 관점에 서 이해하는 능력.

감정적 추리

emotional reasoning

emotional reasoning 감정적 추리: 특정한 결론을 내릴만한 충분한 근거가 없거나 오히 려 반되는 증거가 있음에도 막연히 느껴지는 감정에 근거하여 결론을 내리는 오류

감정전이

displacement

displacement 감정전이: 어떤 동기가 한 가지 형식에서 충족 될 수 없다면, 또 다른 통 로를 이용하여 충족하는 것.

감정조망수용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감정조망수용, 감정적 관점이해: 자기 자신의 관점과 타 인의 관점을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여 타인의 생각, 감정, 지식 등을 그 사람의 관점에 서 이해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