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exithymia 감정표현 불능증: 감정 상태를 기술하는 어휘력이 부족하고 자신의 내적인 감정이나 소망 등을 겉으로 표현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의 감정 상태를 정확하게 자 각하지 못한다. 이들은 자신의 가정과 그러한 감정 상태에서 나타나는 신체적 변화의 차이를 잘 구분하지 못한다.
sensor operation 감지 작용, 감지기 작동: 다양한 감각 통로를 통해 구어 신호 산출의 모든 측면에 대한 정보가 화자에게 되돌아오는 것. feedback 참조.
detection 감지, 탐지: 청각적 혹은 시각적 자극의 유무에 반응을 하는 능력; 지각 (perception)에 대한 필요조건이나, 반드시 지각을 한다고는 보증을 못함.
tact operant 감촉 조작: 1. 물체 혹은 사건이 나타남으로써 일어나거나 강화되어지는 반응. 예) 비를 보았을 때, 그 아동은 "비다"라고 말한다. 2. 타인으로부터 반드시 어떤 반응을 요구하지 않는 이름말하기, 설명하기, 지적하기 등을 포함하는 행동.
tactile perception 감촉지각: 접촉감각을 통해 받아들인 감각정보를 자각하고 아는 것. perception 참조.
covert 감추어진, 은밀한, 암암리의: 겉으로 드러난(overt)과 반대되는 말로서, 비밀을 유지하는, 감추는, 변장하는 등을 의미
exclamatory sentence 감탄문: 강한 감정을 표현하는 문장. 예) "It is hot!" sentence type 참조.
interjection 감탄사, 간투사, 삽입, 삽입어: 1. 변형문법 및 전통문법에서 정서를 표현하 기 위해 문장의 시작 부근에서 사용되고, 그 문장에서 다른 단어들과 관련하여 문법적 인 관계가 없는 단어. 일반적으로 감탄부호가 뒤따르는 감탄어 또는 감탄어구. 예) "아 야"(ouch!), "어머나"(my goodness!) expletive 참조. 2. 말을 시작할 때 ‘어’, ‘음’, ‘있지’와 같은 음절이나 단어를 말의 내용과 관계없이 사용하는 것을 말한 다. 말더듬에서 말더듬의 각 순간으로부터 회피하거나, 연기하거나 도피하기 위해서 하 는 시도이다. 예) 어, 음, 그래.
exclamatory question 감탄의문문: 감탄의 뜻을 지니는 의문문으로, 긍정과 부정 표현 으로 쓰일 수 있다(예; 그렇게만 된다면 얼마나 좋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