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감폭, 진폭감쇄

damping

damping 감폭, 진폭감쇄: 진동하는 물체의 진폭이 감소하거나, 진동이 느려지거나 멈추 는 것. 어떤 시스템에서 진폭이 갑자기 약해질 때를 중감폭(heavily damped), 진폭이 시간이 걸리면서 천천히 약해질 때를 경감폭(lightly damped), 모든 진동이 한 개의 주 기(cycle)를 끝내기 전에 멈출 경우, 임계감폭(critically damped)이라고 한다.

감폭파, 감쇠파

damped wave

damped wave 감폭파, 감쇠파: 주기를 계속하는 동안에 진폭에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음파. wave 참조

갑상선 기능 저하증

hypothyroidism

hypothyroidism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에 반하는 항체 생산으로, 티록신 갑상선 호르몬의 일종의 생산이 제한되어 발생하는 자가 면역 반응으로 인한 내분비 장애.

갑상선 장애

thyroid disorder

thyroid disorder 갑상선 장애: 갑상선이 장애가 원인인 음성 장애. ①cretinism 크레틴 병: 환자는 유아와 비슷한 후두를 가지고 있다. 음성은 억양이 없고 1 옥타브 이내의 매우 제한된 음폭을 갖고 있다. ②myxoedema 점액수종: 갑상선 기능부전증(hypothyroidism)은 음성 상실을 일으킨다. 이것을 과대기능성 실성증(hyperfunctional dysphonia)이라고 할 수도 있다. 환자는 체중이 늘고, 기초적인 기계적 활동이 감소하고, 얼굴이 건조하고 부풀어 오른다. 탈모가 일어나고 성대가 휘어진다. ③hyperthyroidism 갑상선 기능 항진증: 음성이 약간 약해지고 허스키 음성을 낸다. 그러나 실제로 알아차릴 정도는 아니다. endocrine voice disorders 참조.

갑상선종

goiter

goiter 갑상선종: 갑상선의 종창. 갑상선종이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일치된 의견이 없다. 일반적으로 갑상선 조직의 증식·비대 및 그 일부분의 퇴행변성(退行變性)이라 여겨지는데, 이것을 일종의 선종이라고 하는 유력한 주장도 있다. 특히, 결절성 갑상선종은 종양(腫瘍)에 속한다는 견해도 많고, 적어도 그 일부에는 진성 종양이 포함되어 양자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다. 갑상선종에는 갑상선 기능이 거의 정상적인 단순성 갑상선종과 갑상선의 내분비 기능의 항진 또는 저하를 수반하는 것이 있다. 치료는, 내과적으로는 요오드의 갑상선 제제를 쓰지만, 요오드의 과도한 내복으로 갑상선기능 항진을 초래하여 요오드바제도라는 증후군을 보이는 수도 있어,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수술치료는 절제·적출 수술 등이 있다.

갑상설골근

thyrohyoid muscle

thyrohyoid muscle 갑상설골근: larynx 참조.

갑상연골 성형술

thyroplasty

thyroplasty 갑상연골 성형술: 전신마취하여 목 부위의 피부를 절개한 후 갑상연골을 노출시켜 드릴로 연골을 일부 절제하여 실리콘, 고어텍스, 하이드록실아파타이트와 티타늄 금속 임플란트 등을 이용하여 성대를 외부에서 내측으로 밀어주는 수술이며, 피열연골 내전술은 성대근육이 연결된 피열연골을 회전시켜 성대를 내측으로 모이게 하는 수술이다. 1형은 성대 내전술로 성대를 내전시키며, 2형은 성대 외전술로 성대를 외전시킨다. 3형은 성대 이완술로 음도를 낮춰주고, 4형은 성대 신전술로 음도를 높인다.  

갑상연골 성형술

anterior laryngoplasty

anterior laryngoplasty 갑상연골 성형술: 전신 마취하에 목 부위의 피부를 절개한 후 갑 상연골을 노출시켜 드릴로 연골을 일부 절제하여 실리콘, 고어텍스, 하이드록실아파타 이트와 티타니움 금속인 플란트 등을 이용하여 성 외부에서 내측으로 어주는 수술 방식.

갑상연골, 방패연골

thyroid cartilage

thyroid cartilage 갑상연골, 방패연골: 설골 아래쪽에 위치한 후두의 연골 중 가장 큰 연골이다. 이 구조는 양측의 판이 앞쪽에서 합쳐진다. 이 판들이 합쳐지면서 각도가 생기는데 이 돌출 부위를 후두융기(laryngeal prominence)라 하고, 흔히 Adam’s apple이라고도 부른다. 갑상연골에서 V자 모양의 작은 패임 부분을 갑상절흔(thyroid notch)이라하며, 후두융기의 위쪽 표면에 위치한다. 두 개의 길게 나온 상각은 갑상연골의 양면과 하나가 되고 설골에 이어지게 하는 수단으로서 위쪽으로 뻗어 연결된다. 두 개의 작은 소각은 아래쪽을 향하여 뻗어있고, 윤상연골과 연결되어 있다. 갑상연골의 후면은 열린 구조이다. 성대는 갑상연골의 안쪽 표면에 연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