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갑상피열근

thyroarytenoid muscle

thyroarytenoid muscle 갑상피열근: 가장 아래에 위치하면서 세 가지 후두 밸브 근육들 중 좀 더 가운데 쪽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은 갑상피열근(진성대)이다. 삼킨 동안에, 갑상피열근은 항상 흡인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전된다. 또한, 진성대의 조정이 잘 이루어지는 경우에, 진성대의 모양, 길이, 긴장도 등을 적절히 변화시켜 음성을 다양하게 산출할 수 있다. larynx에서 Muscles of Larynx 표 참조.

갑상후두개근

thyroepiglottic muscle

thyroepiglottic muscle 갑상후두개근: larynx에서 Muscles of Larynx 표 참조.

갑작스러운 음성 이탈(멈춤)

abrupt voice breaks

abrupt voice breaks 갑작스러운 음성 이탈(멈춤): 연결되는 발화에서 긴장된 목소리와 근육긴장이상으로 갑작스러운 발성의 시작과 끝맺음, 발성에서의 짧은 이탈, 발화에 상 당히 힘이 드는 것이 특징이다.

갑작스러운 화제 변경

abrupt topic shift

abrupt topic shift 갑작스러운 화제 변경: 급하게 화제 변경이 이루어졌지만, 즉각적인 참조(referent)가 없는 화제 변경

갓난이, 신생아

neonate

neonate 갓난이, 신생아: 생후 첫 4주 동안의 아기. 갓난아기(newborn). Syn: newborn.

antrum

antrum 동, 강, 실: 해부학 용어로, 특히 뼛속의 동과 실을 말한다

강 자질

cavity features

cavity features 강 자질: 조음점을 언급함. 특별한 음성을 발음할 때, 성도에서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는 곳이 어딘가를 지정해 줌. 이 자질의 종류로는 설정성 자질(coronal features-치조음), 전방성 자질(anterior features-양순음, 치간음), 순음 자질(labial features-양순음), 분포 자질(distributed-양순음(+)과 순치음(-) 구분)이 있다.

강(腔)

cavity

cavity 강(腔): 신체 내 빈 공간. 다른 조직들을 보유하는 신체 내의 한 조직. 발음기관에 는 발음을 할 때 후두를 나오는 공기가 통과하는 여러 강이 있다. 인두와 구강이 주요 한 두 개의 강이며, 비강과 입술강도 포함된다. 인두강은 아래쪽은 후두, 위쪽은 설근 과 구개범을 경계로 한다. 구강을 전방강이라고도 하는데 전방은 앞니, 후방은 조음점, 곧 조음할 때 입안 통로의 가장 좁은 위치를 그 경계로 한다. 비강은 구개범의 끝, 곧 목젖이 내려져 후두를 나오는 공기의 일부가 콧구멍을 통해서 흐르는 경우에, 발음에 참여한다. 순강(또는 입술강)은 앞니와 얼마쯤 내어진 입술과의 사이에 있는 공동(空 洞)이며, 통상 둥글게 내민 입술에 의해 구강이 앞쪽으로 연장되는 때에 발음이 이루어 진다. 예컨, 양순음인 자음이라든가 원순모음 발음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이들의 각 강은, 후두를 나와 진동하는 공기에 의해 만들어지는 복합음에 하여, 공명기로서 의 영향을 미친다. 각각의 강은 각각의 강에 고유한 공명 진동수에 일치하는 주파수인 어떤 종류의 주파수를 강화하고 그 밖의 주파수를 약화한다. 이같이 하여, 각 강은 음 향필터로서의 기능을 한다. 각 강의 형태와 용적과는 그 강의 자유로이 움직이는 내벽 (혀, 목젖, 아래턱 뼈, 입술)의 운동에 의하여 변화하며, 이와 함께 각 강의 공명 진동 수가 변화하여, 그 결과 후두원음에 미치는 음향효과도 변화한다.

강강격 역치, 표준이음절역치, 스폰디역치

spondee threshold

spondee threshold 강강격 역치, 표준이음절역치, 스폰디역치: 스폰디 낱말 중 50%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최소한의 청력 수준: 강강격 단어 리스트의 50%가 정확히 변별되는 가장 낮은 청력 수준(H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