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강강격, 표준이음절어, 스폰디

spondee

spondee 강강격, 표준이음절어, 스폰디: 말의 지각 역치를 결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동일한 강세를 가진 두 음절의 표준화된 낱말들. word 참조.

강강격단어, 강강격 낱말

spondee word

spondee word 강강격단어, 강강격 낱말: 각 음절마다 의미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또한 각 음절마다 강세가 동등하게 있는 이음절어. 각 음절마다 의미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며, 첫 번째 음절과 두 번째 음절의 강세가 동일하다. 안개, 마음, 신발 등이 강경격 단어이다. 주로 어음청취역치 검사에서 사용된다.

강도

volume

volume 볼륨, 강도, 부피: 1. 소리의 크기, 강도, 주파수, 배음 구조 등에 따른다. 2. 어떤 형태의 물체가 차지하는 공간. 부피의 단위로는 L(리터), ㎖(밀리리터), ㎤(세제곱센티미터) 등이 있다.

강도, 강세

intensity

intensity 강도, 강세: 음성학에서 소리의 물리학적 세기를 말하며 음파를 정현 곡선으로 나타냈을 때의 진폭의 크기를 말한다. 음성의 경우, 조음과 결부된 목 근육의 긴축, 호 기의 유출량 및 속도, 성문 폐쇄도, 음성 기관의 운동에 의하여 강도에 차이가 있는 음 이 난다. 2. 어떤 의견이나 태도를 유지하려는 열정이나 어떤 정서적인 반응의 크기 등 과 같은 모든 행동이나 경험의 강도. 3. 음향학에서 음파를 통해 전달된 힘으로서, 이 것은 단위 시간(초)당 단위 면적(㎠)을 통과한 음파에 의해 전달된 에너지(erg로 표시) 의 흐름을 말하고, 보통 dB로 나타낸다. 4. 음파를 산출하기 위해 작용하는 힘(force), 에너지, 전력(power), 압력 등의 크기로 기기를 통해 측정됨. 5. 구어에서, 성에 의 해 산출된 에너지의 비율로서, ①흉부-복부 호흡을 통해 산출된 성문하압의 정도, ②성 를 통과하는 기류의 속도, ③성 진동 패턴의 방식과 진폭 등에 영향을 받는다. 6. 화자가 산출한 어떤 음이 가지는 힘이나 강세 및 청자가 듣는 음의 크기의 속성. 소리 의 크기; 큰 소리로 지각되는 소리는 강도도 큼

강도, 강한 정도

strength

strength 강도, 강한 정도: 어떤 물질의 성질이 나타내는 굳은 정도나 센 정도.

강도, 소리의 크기, 음성 강도

loudness

loudness 강도, 소리의 크기, 음성 강도: 목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로, 음향적인 특 성은 고려하지 않고 청자가 느끼는 소리의 진폭이나 강도의 결과에 한 주관적인 감각 이다. 강도는 작은(soft) 강도에서부터 큰(loud) 강도까지의 척도로 매겨질 수 있고, 측정 단위는 손(sone)이다. 발성이나 말소리의 강도는 성문하압에 의해 결정됨. 화 시 65dB이 정상이다. 어떤 물리적 자극의 강도에 한 심리적 반응으로서, 주파수에 따 라서도 다소 변화한다. auditory phonetics 참조

강도레벨, 강도수준

intensity level(IL)

intensity level(IL) 강도레벨, 강도수준: 단위면적당 음의 강도에 한 표현 단위로, 0dB 은 0.0002 dyne/㎠ 또는 10~12watt/㎠이다.

강도변화, 음량 변이, 강도 변이

loudness variation

loudness variation 강도변화, 음량 변이, 강도 변이: 발화 상황에 따라 아주 조용하게 소리를 내든지, 아주 시끄럽게 소리를 내든지 하여 강도에 변화를 주는 것을 말한다

강도에 대한 차이역 혹은 판별역

difference limen for intensity

difference limen for intensity 강도에 대한 차이역 혹은 판별역: 그저 들을 수 있는 순 음 강도에서 가장 작은 변화. 정상청력을 가진 사람들이 보통 강도수준을 역치 가까이 에 둘 때 강도에서 작은 변화를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강도를 증가시킬 때 DLI 는 감소한다. threshold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