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강도장애

loudness disorder

loudness disorder 강도장애: 음성을 전혀 낼 수 없거나 음성을 내더라도 이해할 수 있 을 정도로 크게 내지 못하는 경우로 히스테리성 실성증, 거성증, 음성무력증, 경직성 부전실성증 등이 있다

강박

obsession

obsession 강박: 버리고 싶은 생각과 감정이 사라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개인을 지배하여 괴롭게 하는 신경증적 현상. 버리거나 떨치려고 할수록 일반적으로 더욱 강하게 떠오르기 때문에, 생각과 감정을 의식하고 이를 수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bsessive compulsive reaction 참조.

강박 신경증

compulsion neurosis

compulsion neurosis 강박 신경증: obsessive-compulsion neurosis 참조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참조

강박 의식

compulsive rituals

compulsive rituals 강박 의식: autism 참조

강박반응

obsessive compulsive reaction

obsessive compulsive reaction 강박반응: 신경증 반응양식의 하나로 집요하게 반복되는 원하지 않는 사고관념에 쫒기거나 어떤 행동을 강제로 반복하는 것을 이기지 못하는상태. 금지된 어떤 것에 빠지는 것. 탐닉이나 경계하는 것을 거부하는 것, 탐닉에 대한 충동을 가지는 자신을 처벌하는 것 등에 의해 긴장과 불안을 감소시키는 목적을 가지는 불필요하지만 저항할 수 없는 반복적인 활동, 말, 또는 생각.

강박신경증

obsessive-compulsion neurosis

obsessive-compulsion neurosis 강박신경증: 매사를 지나치게 의심하거나 세균감염에 불안감으로 손을 너무 자주 씻는다든가 옷을 갈아입는 등의 강박증이 심하고, 지속적 불안감으로 정상생활을 방해하는 증상이다. 상태가 심해지면 우울증이나 심각한 불안증세를 보이며, 신체이상이 없는데도 스스로 병에 걸렸다고 확신하며 병을 확인하려는 건강염려증(hypochondria)을 보이기도 한다. 원인은 몸의 화학물질의 변화, 주위환경을 통해 학습하는 환경적 요인, 뇌에서 감정을 조절하는 세라토닌의 변화, 과거 세균감염 후유증 등이다. 치료는 심리상담치료와 약물치료로 나누게 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과잉행동 및 충동성, 특정 공포증과는 구별되어 진단된다.

강박신경증 장애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강박신경증 장애: 이 신경증은 인구의 약 0.5% 정도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청결에 관한 강박관념이 있다면, 지나친 손 씻기, 용기를 사용하기 전에 여러 차례 그 용기를 씻기, 세면대를 사용하기 위해 세면대 주위를 씻기,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비누, 옷, 수건 등을 용기 안에 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강박관념은 마술적인 특성(magical figure)이 충족되는 어떤 수만큼 여러 번 수행하게 된다. 만약 강박관념이 마술적인 숫자 이상으로 반복이 되면, 그 강박관념은 다시 나타나게 된다. 그 사람은 이 장애로 인해 인생을 망쳐버릴 수 있다. 행동치료 또는 정신분석과 같은 심리치료가 성공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강박행동, 강박 충동

compulsion

compulsion 강박행동, 강박 충동: 어떤 행위를 반드시 수행하도록 자극하는 저항할 수 없는 충동, 의식적인 의지와는 반대로, 이러한 강박 충동은 자주 반복된다. 불안을 감 소시키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나타낸다. 이러한 강박행동은 씻기, 청소하기, 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이 외현적 행동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숫자세기, 기도하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와 같이 내현적 활동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강세 대조

stress contrast

stress contrast 강세 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