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pula, shoulder blade 견갑골: 두 팔이 체간에 연결되는 골격의 일부를 이루는 뼈, 흉곽의 뒷면에 좌우대칭으로 제2~제7 늑골에 걸쳐 있으며, 길이 9~10cm의 넓적한 삼각형 모양이다. 흉곽과는 직접적인 연결이 없고, 주로 근육으로 흉곽 뒷면에 지탱되어 있다. 이 뼈의 외형은 등의 표면에서 만질 수 있다. 견갑골은 쟁기, 방패, 귀갑, 날개 등과 모양이 비슷하여 이들과 관련된 명칭이 있다.
scapuloperoneal dystrophy 견갑비골이양증: 상염색체의 우성 혹은 성과 연결된 상규(常規)를 벗어난 질병이다. 아동기 초에 발생한다. 이 질병으로 생명을 잃는 일은 없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omohyoid muscle 견갑설골근: larynx에서 Muscles of the Larynx 표 참조.
traction reflex 견인 반사: 외과적인 의미에서는 골절된 골절단의 전위를 정복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피부견인과 골견인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물리치료에서 실시하는 견인법은 주로 경추견인과 요추견인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경추견인은 앉은 자세에서 실시하는 경우가 주로 많고 요추견인은 누운 자세로 실시한다. 그런데, 견인의 최대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견인 시의 체위, 견인의 각도, 견인의 방향, 견인력, 견인시간, 견인횟수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견인은 근 경련이 이완되었을 때 행하여야 하며 통증이 심할 때는 반사적으로 근육의 수축 긴장이 일어나 기대한 효과를 거둘 수 없으므로 사전에 온열치료와 마사지 등을 시행하면 좋다.
cuspid teeth 견치: 송곳니(canine teeth)
resolutions 결과: 이야기 도중에 제시되는 사건의 결말에 해당되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어떻게 되었는가?”에 관한 내용이다.
result 결과: 어떤 원인으로 결말이 생김. 또는 그런 결말의 상태.
knowledge of results 결과 지식: 대상자가 과제를 실시한 후, 과제의 목표 달성에 관하여 요약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과제 수행 후 '긍정적', '보통', '부정적' 과 같은 정보를 제공 시 다음 회기에서 오류 탐지 및 개선에 효과를 보일 수 있다.
output 결과물, 산출, 출력: 1. 언어표현. 2. 전기회로에 의해 입력신호가 증가되거나 변화되어진 다음에, 어떤 기계에 의해 방출된 힘, 에너지, 음압. expressive language 참조. 3. 컴퓨터에서 나오는 정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결과나 프린트되거나 화면에 나온 내용이나 디스크에 자료를 전송하는 것 등 모든 형태가 출력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