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 complement 목적보어: complement 참조.
object 목적어, 물건, 사물: 1. 행위가 수행되는 대상으로 명사나 명사 대치어로 채워지 는 문장의 요소이며 "She threw the ball"(직접목적어) 같은 경우이다. 또는 그 행위가 수행되는 사람으로, "She bought the flowers for him"(간접목적어) 같은 것이다. 2. 사물, 사람, 추상적 개념 등과 같은 환경의 일부분. 3. 반응을 유도해 내는 자극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
end-gaining 목적의식: 부적절한 긴장을 통해 생기는 ‘목적’부분에 대한 집착과 안 좋은 영향을 끼치는 습관이나 생각을 멈춤으로써 얻어지는 좋은 습관이 우리 몸의 사용 을 더욱 좋게 한다.
uvula muscle 목젖 근육: palate muscles에서 Muscles of the Palate 표 참조. uvula 참조
uvula 목젖, 구개범: 1. 작고 원추 모양을 한 연구개의 끝 부분. 연구개의 뒤쪽과 인두의 협곡(isthmus) 사이에 매달려 있는 조직 덩어리. 목젖 근육은 연구개의 중앙선을 따라 있으며, 목젖을 움직이게 한다. 목젖 근육이 수축하여 연인두 폐쇄를 하도록 만든다.
goal selection 목표 선택: 일상의 상호작용 내에서 의사소통 목표를 완성할 수 있도록 최대한으로 효율적인 언어를 사용하도록 하는 목표를 지정하는 것으로, 각 아동의 관련 언어 영역, 아동의 장애, 환경의 요구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다.
goal setting 목표 설정: 목표설정을 함으로서 하는 일에 대한 의욕이 높아지도록 하고, 자기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goal setting theory 목표 설정 이론: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도가 동기의 근원이 된다는 이론. 개인이 의식적으로 얻으려고 설정한 목표가 동기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motivation, motivational interviewing 참조.
goal relevance 목표 타당성, 목표타당도: 준거참조검사(criterion referenced test) 문항의 타당성을 표현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으로 검사문항들이 목표의 달성 및 미달성 여부를 어느 정도 충실히 재고 있는지를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