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only cue 시각적 단서만: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낮은 지능과 적응 행동의 결함으로 인하여, 주의, 이해, 기억, 언어능력, 학습, 일반화 및 문제해결을 포함하는 기술과 능력에 문제를 보이며, 단순하고 구체적인 과제보다는 복잡하고 추상적인 과제일수록 어려움을 보인다. 언어치료 임상 현장에서 획기적이며 절대적인 치료 기법을 추구하기보다는 아동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여 아동의 개별 인지 특성과 교육 조건에 맞춘 조직적이며 체계적인 접근이 언어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언어치료 현장에서 그림카드와 같은 시각적 단서를 얼마나 잘 조직화하고 활용하느냐에 따라 지적장애 아동의 치료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visual figure-ground 시각적 도-지: figure-ground 참조.
visual figure-ground perception 시각적 도형-배경 지각: 복잡하고 경쟁적인 배경 자극들이 있는 적절한 시각적 자극들. figure-ground perception 참조
visual figure-ground discrimination 시각적 도형-배경(도-지) 변별: 시야에서 보이는 어떤 측면을 인지하는 동안에 나머지 다른 것들과 관련하여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 예) 그림 속에 있는 여러 물체로부터 어떤 물체를 선택하는 능력.
visual action therapy(VAT) 시인지동작치료, 시각적 동작치료.
visual hearing 시각적 듣기: 가시적인 자극의 해석을 통한 발화된 말의 뜻을 이해하는 것. rehabilitation 참조.
visual listening 시각적 듣기: Syn: visual hearing.
visual discrimination 시각적 변별: 물체, 형태, 철자, 단어 등에서 차이점들을 발견하는 과정. discrimination 참조.
visual analysis 시각적 분석: 시각적 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정보를 새롭게 창조하는 데 기본이 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