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object recognition stage 시각적 사물인식 단계: 대상을 보고 대상의 형태, 모양 등 시각적으로 보여 지는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visual analog scale 시각적 아날로그 척도: 구어명료도 혹은 음성장애 심한 정도에 대해 청자가 지각하는 정도에 대한 범위를 정하는 평가방식이다. 구어장애 화자 혹은 청자가 지각하는 심한 정도의 범위를 하나의 연속선상에 놓고 대개 수평선의 양쪽 끝에 전혀 문제없음과 아주 심각함을 표시하고 실제 지각되는 심한 정도를 표시한다.
visual closure 시각폐쇄, 시각적 완성: 불완전한 시각적 표상(표시)를 보고 사물이나 형태 또는 단어들을 인지함;
visual metaphor 시각적 은유: 두 가지 이상의 이미지의 결합이다. Wolf는 따로 따로 독립적으로 존재하던 두 개 이상의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로 결합하여 새로운 이미지,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되는 것을 시각적 이미지의 뜻밖의 결합으로 규정하면서 그러한 뜻밖의 결합은 빠르고 쉽게 사람들을 믿게 만드는 이상적 도구라고 말한다.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의 뜻밖의 결합은 주로 하나의 이미지에 다른 이미지가 더해지는 첨가와 이미지의 일부가 통상적으로 속해 있지 않는 다른 이미지로 대용되는 치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초현실주의 회화처럼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과 이단적인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결합되면 유머와 함께 놀라움을 만들어낸다.
visual schedule 시각 스케줄, 시각적 일과표: 어떤 활동이 어떤 순서로 일어나는지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일과표. 하루 동안의 활동 순서를 전체적으로 시각화하여, 다음에 일어날 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활동 간의 전이를 돕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전반적 발달 장애(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아동의 작업 및 교실에서의 활동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visual input 시각적 자극: 도형이나 그림과 같이 시각 기관을 통해 감지할 수 있도록 제시되는 자극.
visual scene display 시각적 장면 디스플레이: 상황, 장소, 경험 등을 나타내는 그림, 사진, 가상환경 등을 말한다. 사람, 행위 및 사물 등 개별 요소가 시각적 장면에 표시된다. 주로 역동적 디스플레이 기술에 적용된다.
visual prompts 시각적 촉구, 시각적 촉진: 그림이나 사진, 색깔, 그래픽 등의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는 방법.
visual prompts 시각적 촉구, 시각적 촉진: 그림이나 사진, 색깔, 그래픽 등의 시각적인 단서를 사용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