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scanning 시각적 탐색: 상징들이 시각적으로 제시될 때, 상징의 코너에 있는 발광 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오거나 상징 주변에 조명장식 틀이 나타나게 되는 형태를 말함.
visual display unit 시각적 표시기기, 화면기기, 모니터기: 컴퓨터 메모리에서 산출한 내용이나 그래픽을 나타내는 기기. 이것은 단말기의 화면 부분을 구성한다.
visual feedback 시각적 피드백: 자극에 대한 반응이나 활동을 올바르게 수정하도록 시각적으로 돕는 메커니즘. 예를 들어 조음 중재 시 시각적인 진폭, 스펙트럼, 스펙트로그램을 활용하여 치료사의 조음과 비교하는 방법, 호흡 훈련의 불기 활동에서 호기량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방법 등이 있다.
visual acuity 시각 민감도, 시각정확도: 자세하게 보는 눈의 상대적인 능력. 특정한 거리에서 형태를 분명하게 구분하거나 세부사항을 변별하는 능력. acuity 참조.
visual closure 시각폐쇄, 시각적 완성: 불완전한 시각적 표상(표시)를 보고 사물이나 형태 또는 단어들을 인지함;
visual performance 시각항상성: 사물을 보는 조건, 예를 들면 보는 방향, 거리, 밝기 등이 변하여도 대상물은 항상 불변하는 사물로서 인지되는 것을 말한다. 시지각의 항상성이 충분히 발달한 아동은 물체를 정면에서 보거나 비스듬히 보아도 안구(眼球)의 망막에 비추이는 상은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르지만 동일한 물체라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시지각의 항상성에는 크기의 항상성, 밝기의 항상성, 색채의 항상성, 형의 항상성으로도 나눌 수 있다. ①크기의 항상성: 물체가 먼 거리에 있을 때에는 망막 위에 적은 상을 나타내고 가까운데 있을 때에는 큰 상(像)으로 반영되는 데도 불구하고 같은 크기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크기의 항상성이 발달되지 않은 아동은 사물에 대한 실제적 크기를 정확히 알지 못하고 배경이 달라지면 물건의 크기를 잘못 판단하는 수도 있다. ②밝기의 항상성: 눈(雪)은 낮이나 밤이나 희게 보이듯이 조도(照度)가 변하여도 일정하게 보이는 것은 밝기가 유지되는 것이다. ③색채의 항상성: 조명의 상태(밝은 곳, 어두운 곳, 불빛)가 변하여도 어떤 사물이 갖고 있는 색의 특징을 동일한 색채로 인지하는 것이다. ④형의 항상성: 사물을 보는 각도에 따라 망막에 비추어지는 인상이 달라지는 데도 동일한 물체로 인지하는 것이다.
visualization 시각화: 말더듬의 전이 프로그램에서는 무엇보다도 말하는 장면이 다양하게 필요하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 다양한 말하는 장면을 찾고 참여하는 것이 번거롭고 어려우므로 임상에서 실제 상황을 가상 연습한다. 즉 '슈퍼에서 사탕을 산다.'는 장면을 연습하기 위해서는 철저하고 세심한 심리적, 상황적 과제분석을 하여 연습한다. 예) 눈을 감아라. 슈퍼마켓에 15미터 앞에 왔다. 슈퍼마켓에 10미터 앞에 왔다. 슈퍼마켓에 들어온다. 물건 가격을 물어라.
visual training 시각훈련: 공간에서 물체들의 위치를 인지하기, 물체를 식별하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각적 이동을 방향 짓기, 부분적 자극으로부터 전체적 물체를 인식하기, 인지 속도를 증가시키기, 도-지 자극 구별하기 등을 학습시키는 것. aural rehabilitation에서 speech reading 참조.
sensation of time 시간 감각: 시간경과의 감각. 주관적으로 시간은 길게도 짧게도 느껴지며, 이것의 본체는 잘 알지 못한다. 생체시계라는 것은 호르몬분비의 주기성 등이 본체인데, 시간감각과의 관련은 명확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