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me space 시간 공간: 말더듬에서, 더듬은 단어의 앞 단어의 마지막 음소로부터 더듬은 단어의 마지막 음소까지를 발화하는데 걸린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나는 사 사 사 사과를 좋아한다."에서는 "나는"에서의 받침 'ㄴ'과 '사과를'에서 받침 'ㄹ'까지의 공간을 말한다. 검사를 하고 있는 그 단어가 마지막으로 말하기 전에 여러 가지 상이한 행동이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시간 공간을 측정하는 이유는 말더듬의 심한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이다.
temporal structure 시간 구조: 시간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일컫는다. 학습에 대한 동기와 가능성에 영향을 미친다.
time dimension 시간 범위: 시간을 년, 분기, 월 및 일과 같은 수준으로 나누는 차원을 말한다.
chronological pattern 시간 순서적 유형: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사건들을 기술하는 형태 이다.
time pressure 시간 압박, 시간 압력, 시간 스트레스: 1. 말더듬에서, 간절히 말하고자 하는 강제적인 감정. 의도적으로 긴장이 풀린 말을 하도록 하지 못하는 감정. 말더듬인이 말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순간에 때때로 거의 조급하고 서두르는 등의 공포감을 가진다. 그는 시간적 압박에 있다는 것을 느끼고 시간에 쫓긴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는 의도적이고 이완되게 말할 시간 없이 즉각적으로 말해야 한다는 다소의 강한 충동감을 느낀다. 2. 과제를 실시할 때 아동이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제한하는 상황이다. 반응시간을 통해 대화를 하는 동안 화자가 느낀 시간압박을 측정한다.
temporal processing 시간 정보처리: 두뇌로 입력되는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 정보에 대한 시간적 순서에 대한 정보처리. 이 능력을 훈련하면 특정분야의 학습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인지 기능을 향상할 수 있으며, 특히 난독증 치료에서 신경인지 도구를 활성화하여 읽기능력에 도움을 준다.
time sampling 시간 표집: 시간 표집은 어떤 학생의 검사 성취도가 여러 번에 걸쳐서 실시한 후 일정한 정도를 검토하는 것이며, 검사-재검사법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검사-재검사 연구에서 얻어진 상관계수에는 오류 변수 및 안정성과 내부 일관성이라는 2가지 자료를 내포하고 있다. 얼마나 많은 오류 변수가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느냐 하는 것을 결정하기 위하여 Anastasi의 절차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내부 일관성과 관련된 오류는 검사-재검사 계수에서 제거되며, 나머지 변수는 안정성에 기인할 수도 있다. 이 방법은 그 검사를 실시하고 1주일 혹은 2주일 후에 다시 그 검사를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Anastasi(1988)는 이러한 형태의 신뢰도는 어떤 검사의 점수가 다른 경우에도 일반화될 수 있는 정도를 나타낸다는 신뢰도가 높을수록, 점수는 피검자나 검사 환경이 매일 무작위로 변하는 조건에서 그만큼 영향을 덜 받는다고 진술하였다. 시간이 지난 뒤에 실시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데 그것은 교육이나 기억에 의존하는 점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Time Compressed Speech Test 시간단축 말하기 검사: 단어나 문장의 음도 변화 없이 속도를 높여서 제시. 비정상적으로 감소시킨 변화구어를 인지하는 것은 중추부위의 병변을 암시할 수도 있다.
time warp 시간왜곡증상: 시간의 변칙적 흐름 및 정지 현상. 시간의 흐름에 대한 감각이 없어지는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