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order of timing 시간장애, 시간조절 장애: 운동생리적인 관점에 의하면 발화의 시작 시점에서 호흡, 발성, 조음기관의 여러 근육들이 동시에 계획되고 잘 협응 되어야 하는 데 시간적인 계획에 문제가 생겨서 동시에 자연스럽게 계획되지 못하여 말더듬이 발생 된다고 한다.
temporal error 시간적 오류: 근무성적평정을 할 때 평가 기간 전체의 실적이 아니라, 최초 또는 최근의 실적이나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류를 말한다. 근무성적평정은 대개 1년 내지 6개월로 된 전체 평정 기간의 근무성적을 평가하도록 되어 있지만 대체로 전체 기간의 근무성적을 종합해 평정하지 못하고 최초 또는 최근의 근무성적에 대한 인상을 가지고 평정하는 경향이 있다. 시간적 오류에는 초기의 업적에 영향을 크게 받는 첫머리 효과(primacy effect)와, 반대로 최근의 실적이나 능력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일컫는 막바지 효과(recency effect)의 오류가 있을 수 있다
temporal integration 시간적 통합: 장애아동이 분리교육 환경에서 일반학교로 이동하여 같은 공간에 존재하는 통합으로, 일정 시간 동안 장애를 지니지 않은 또래들과 함께 동일한 교육환경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temporal 시간적인, 측면의: 해부학적 부위와 관련되어 쓰일 때 주로 ‘측면의’ 란 뜻으로 사용된다. 시간과 관련되는 경우에는 ‘시간적인' 이란 뜻으로 사용된다.
part-time job 시간제 근무: 시간제 형태로 근무하는 것. 개인에 따라 시간대 및 스케쥴을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ull-time job 참조.
time delay technique 시간지연 기법: 언어치료사가 아동과 함께 쳐다보거나 활동하다가 아동의 언어적 반응을 가만히 기다려 주는 것이다.
Staggered Spondaic Word Test(SSW) 시간차 강강격 단어검사: 제시된 두 개의 강강격 단어의 이분청취 과업을 이용해서 실시하는 중추청각장애 검사. 한쪽 귀에 제시된 두 번째 음절을 다른 쪽 귀에 제시한 첫 번째 음절과 동시에 듣게 된다.
temporal theory 시간차 이론: 신경세포를 자극하는 시간차로 해석한다는 이론.
spaced retrieval 시간차 회생 훈련: 환자에게 점점 긴 시간 간격을 두고 하나의 정보를 기억하도록 가르치는 것. 이 방법은 본질적으로 하나의 행동형성법인데 특정 정보의 회상과 그 다음 회상과의 기간 차이가 점차로 늘어난다. 이러한 형성법으로 거의 혹은 전혀 실수가 없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