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on-Rosenbach law 시몬-로젠바 법칙: Semon's law or symptom 참조.
Schwabach Test 시바바흐 검사: 정상 청력을 지닌 검사자의 듣기능력과 피검자의 듣기능력을 비교함으로써 청력손실정도를 표시하는 골도전도청력의 양적 검사; 진동하는 소리굽쇠를 피검자의 유양돌기에 위치시키고, 피검자가 더 이상 아무 소리도 들을 수 없을 때, 소리굽쇠를 검사자의 유양돌기로 옮긴다. 그런 다음, 검사자는 소리굽쇠 소리를 자신이 들을 수 있는 초시간으로 계산한다. 점수는 피검자에 대해 마이너스 초로 보고된다.
model prompts 시범 촉진: 아동에게 언어나 몸짓 또는 이 둘을 모두 사용하여 시범을 보여 줌으로써 목표행동을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
thalamus 시상: 간뇌(diencephalon)의 부분 중에 가장 크고, 20~50여 개의 많은 신경핵군을 이루면서 제3 뇌실의 상부벽, 배부는 제3 뇌실 양쪽으로 있는 2개의 타원형 회백질 덩어리로 구성된다. 시상 내부에는 일반적인 감각, 시각, 청각, 미각 등의 중계핵과 자율신경 기능을 담당하는 연합핵이 있다. 시상은 대뇌, 소뇌, 시상하부로부터 신경섬유를 받으며 시상에서 받은 정보를 대뇌피질에 전달하는 중계역할을 한다. 그 외의 다른 핵들은 수의운동 활동과 각성을 통제하는 연접(synopes)으로서 작용한다. 시상은 또한 온각, 촉각, 압각과 같은 감각으로부터 정보를 처리한다. 시상뇌는 간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으로, 다시 시상․시상후부 및 시상상부의 3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주로 피부 및 심부지각신경의 중간중추로서 후각을 제외한 거의 모든 감각신경이 여기를 통과하는데, 이때 시상을 통과하는 느낌은 명확한 의식이 있는 지각이 아니고, 전체적으로 유쾌하거나 불쾌하다는 정도의 원시적 정서이거나, 체내․체외의 변화에 대응하여 필요한 반사작용을 일으키는 정도이다. 이들 지각이 명확해져서 의식활동의 한 부분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뇌의 지각중추 또는 보다 높은 연합중추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시상뇌는 의식활동이라든가 정신작용이라는 높은 차원의 인간생활에서는 대뇌의 기능에 미치지 못하나, 원시적인 생명유지라는 점에서 대뇌보다 더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sagittal section 시상면: sagittal plane 참조.
sagittal plane 시상면: 신체를 좌, 우로 나누는 수직면. 이 면 가운데 몸을 좌우로 구분하는 면이 정중면이다. plane 참조.
pulvinar 시상의 시상침.
hypothalamus 시상하부: 시상의 아래 부분에서 발견되는 뇌의 구조로 시상하구에 의해시상과 구분된다. 이것은 신체의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에 영향을 미친다. 시상하부는 시상으로부터 많은 신경섬유와 척수 및 연수로부터 오는 흥분을 받을수 있는 많은 신경섬유들이 있다. 사람에 있어서는 약 5g정도의 작은 구조며 척추동물에서는 생체 내 환경을 조절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신체의 항상성을 관장하는 중추로 대뇌가 제거된 동물은 별 어려움 없이 살아갈 수 있지만 시상하부를 제거한 동물을 생존시키려면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주요 기능으로는 자율신경 중추가 있어 체내의 내장효과기(호흡, 심장기능, 혈관운동)에 대하여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흥분을 촉진 혹은 억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대뇌피질과 하위 중추와의 중계 역할을 한다. 신경하수체를 통해 배설하는 호르몬을 합성하며 이 호르몬들의 분비도 조절한다. 음수중추가 있어 수분평형 유지를 담당한다. 각성상태 유지와 주의집중력, 식욕과 음식물 섭취조절 중추가 있다. 시상하부에는 체온조절 중추가 있어 체온의 정상화를유지하고 있다. 먹고 마시고 성교 등의 기본욕망에 대한 기쁨과 충족 등의 보람 중추가있어 이를 원만하게 조절하고 있다. 공포, 분노와 같은 기본적인 정서반응과도 밀접한관련이 있으며 그 밖에 동공확대, 타액 분비 증가와 같은 현상에도 관계하고 있다.
subthalamic nucleus 시상하핵: 내포가 대뇌각으로 이행하는 부의 배내측연에 접한 타원형의 핵이다. 사람의 본핵은 다른 동물에 비해서 크고 윤곽도 뚜렷하다. 중간정도 크기의 다극세포로 이루어진다. 담창구 외절로부터의 섬유를 받고 또 그것으로 섬유를 되돌려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