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gittal pattern 시상형, 시상패턴: 1. 신체를 좌, 우로 나누는 수직면. 이 면 가운데 몸을 좌우로 구분하는 면이 정중면이다. 2. 연인두 폐쇄 양상 중 가장 드문 형태로 인두측벽이 가운데를 향해 움직여 중심선에서 만나 폐쇄에 기여한다. 연구개가 인두후벽 대신 인두측벽과 만나 폐쇄를 이룬다.
gaze monitoring 시선 주시, 시선 따라잡기, 시선 응시: 아이가 엄마나 아빠의 눈동자 움직임을 따라 자신의 시선을 옮기는 행위로 대략 생후 18개월경에 가능하다. 어떤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주의를 타인과 공유하는 상호 작용이다. 공동 관심에는 사물이나 사건에 대해 다른 사람의 주의를 탐지하고 따라가려는 시도, 즉 시선 주시, 가리키기, 주기, 보이기 등이 포함된다. 이 가운데 시선 주시는 상대방이 바라보거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곳을 함께 바라보는 행동을 통해 상호 개인 간에 정서적인 교류를 일으킨다
optic nerve 시신경: 자극을 눈에서 두뇌로 옮기는 신경. cranial nerves 참조.
visual field 시야: 눈을 움직이지 않고, 주시했을 때에 시력이 미치어 볼 수 있는 범위. 단안 시야, 양안 시야, 주시야가 있음. 시야는 시력의 좋고 나쁨과는 관계가 없다.
field of vision 시야: 두 눈을 전방으로 똑바로 주시할 때에 볼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는데 각도로 나타냄. 정상인은 약 180도를 볼 수 있음.
divided visual field 시야분리: 사물에 대한 식견이나 사려가 미치는 범위(시력이 미치는 범위)가 서로 나뉘어 떨어짐
First Word Language Programme 시어기 언어 프로그램: Gillham(1979)이 개발한 이프로그램은 어느 정도의 언어발달지체 혹은 언어발달장애 아동, 학습장애 아동, 신체적원인들로 인해 구어를 산출할 수 없는 아동들에게 사용되는 언어 프로그램이다. 이 아동들은 하루에 한 번 이상으로 짧게 구성된 회기들을 사용하여 지도 받는다. 또한, 이프로그램은 비공식적인 치료 환경에서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치료사는 아동들에게서이루어지는 진전사항을 기록해야 한다.
first word stage 시어기, 초어기: 아동 언어발달의 한 단계. 이 단계는 약 1세부터 2세까지이다. 아동은 사물의 이름, 행동 서술, 요구하기 또는 바른 억양으로 감정 상태를표현하거나 기대하지 못한 어떤 것을 보고 놀람을 표현하는 단단어로 된 문장을 발화한다. 이 단계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은 ①친숙한 것과 물건들: 중요한 사람(아빠, 엄마),동물들, 의복, 가정에 있는 것들, 신체부위들. ②활동들/사건들: 움직이는 것들(행위자)의 이름, 움직일 수 있는 것(행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물들), 어떤 아동들은 사물의 이름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만, 어떤 아동들은 사람들의 이름에 주의를 기울이지않는다. ③의미 있게 사용된 억양(이 단계의 후기에 발달하게 된다). 재현, 부정, 위치등과 같다. 비록 아동이 이런 것들을 의미 있게 완전하게 사용할 수 없더라도, 그 의미는 그들이 사용하는 제스처나 발화의 문맥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rehearsal process 시연과정: 저장되었던 정보를 재생하거나 재순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