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retary 시크리터리: 메모작성기(memowriter)의 메시지 작성 특징과 Parrot의 말하기 특징 둘 다를 겸비한 첨단 의사소통 보조기기. 이 기기에는 화면에 메시지를 띄우고 컴퓨터와 내부 연결된 프린터기를 통해 메시지를 출력시키는 QWERTY 키보드가 있다. 저장된 구어 메시지를 통해 주의집중을 요구하거나 일상적인 질문에 대한 대답이 가능하다.
cytomegalovirus(CMV) 시토메갈로바이러스, 거대세포 바이러스: 신경 조직을 감염시키 는 대단히 전염성이 있는 바이러스성 질병. 어머니가 임신 중에 이 바이러스에 걸리면, 아동에게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질병 중의 하나이다. 이 바이러스는 가장 일반적으로 청력 손실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여겨짐. 청력손실은 보통 발생이 늦고, 경 도에서 고도까지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지적장애, 뇌성마비, 기타 장애들을 일으킬 수 있다. 이것은 임신 기간에 태아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톨치 증후군의 일부분이다. 톨치 증후군(Torchs syndrome 참조)은 톡소플라즈마, 풍진, 거대세포 바이러스, 포진, 매독감염 증후군을 말한다.
timed activation 시한 활성화: 보완대체의사소통에서 원하는 기호를 선택하기 위해 장치가 인식할 때까지 정해진 시간만큼 사용자가 기호 선택을 유지하여야 하는 방식. release activation 참조.
inter trial interval 시행 간 간격: 학생의 올바른 반응을 위해 강화를 받는 동안의 시행들 과 교사가 그 시행 동안에 자료를 기록하는 사이의 짧은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trial and error learning 시행착오 학습: 논리적으로 최적의 방법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나 문제에 관해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을 시행하고, 그 결과를 판단하여 좀 더 좋은 방법을 찾고 최적의 상태를 추구해 가는 과정을 통한 학습. 손다이크는 이러한 학습형태를 도태와 연합(selecting and connecting)이라고 하였다.
on effect 시효과, 전효과: 지속된 음에 대한 청각 시스템의 처음의 반응이 가장 활발한반응인 현상.
oesophagus 식도: esophagus 참조.
esophagus 식도: 인두와 위 사이에 있는 소화관 부위로서, 윤상연골에서부터 분문구 (cardiac orifice)까지 걸쳐있고, 미주신경(10번 뇌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spasm of esophagus 식도 경련: 식도에 경련이 일어나 협착증을 일으키는 일. 확실한 원인을 모르고 있으나 식도의 궤양, 식도염 외에 광견병, 파상풍, 뇌막염 등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