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imia nervosa 신경성 과식증, 폭식증: 단시간 내(약 2시간 이내)에 일반인들이 먹을 수 있는 양보다 명백히 많은 양을 먹고, 음식을 먹는 동안 음식 섭취에 해 통제력을 잃는다. 또한 체중 증가를 막기 위해 음식물을 토해내거나 설사약, 이뇨제를 남용하거 나, 과도한 운동을 하기도 하며, 자신의 체중과 체형에 하여 과도하게 집착하는 증상 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를 폭식증이라고 한다.
neurophonia 신경성 규성(叫聲), 경련성 규성: 발성에 관련된 근육의 연축(spasm) 혹은 틱(tic)으로 불수의적 소리 또는 울음소리를 내게 되는 원인이 됨. 때때로 어떤 동물의 울음소리 같은 소리를 내는 신경장애의 일형.
nerve deafness 신경성 농: sensorineural deafness 참조.
anorexia nervosa 신경성 식욕부진: 몸무게가 늘지 않도록 하는 병리적인 욕구가 특징인 섭식장애. 미국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의 발생률은 1~2%이고, 남자에 비해 여자에게서 20:1의 비율로 나타난다. 10 후반과 20의 젊은 여성에게 일반적이다. 식욕부진을 경 험하는 부분의 사람들은 보통 자신의 체중이 정상체중의 25%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자 신을 과체중으로 생각하며, 그 결과 영양부족과 기타 관련 장애를 초래할 수 있다.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신경성 의사소통장애, 신경언어장애: 신경학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장애. 흔히 신경언어장애라 부르지만 말장애와 언어장애를 포괄하는 용어이다. 언어를 통제하는 대뇌의 우세반구의 피질 및 피질하 영역들의 손상으로 인해 언어 이해 및 사용의 문제가 있는 것과 말초의 손상으로 인한 말 산출기관의 사용 문제가 있다.
progressive neurodegenerative disorder 신경성 퇴행질환 장애: 진행성으로 신경학적 퇴행을 보이는 장애.
neurogenic mutism 신경성 함묵증, 신경성 무언증: 중추신경계 혹은 말초신경계 손상으로 인하여 말을 거의 할 수 없는 상태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말 불능증(anarthria)이나 감금증후군(locked-in syndrome) 등을 포함한다. mutism 참조.
nerve loss 신경손상, 신경손실: sensorineural deafness 참조.
neurochronaxic theory of phonation 신경시치(時値) 발성 이론: 각 새로운 진동 주기는 뇌에서 회귀성 미주신경을 지나 성대근으로 전달되는 신경충동에 의해 시작되어진다는 이론. 성대 진동의 주기는 후두근에 전달되는 충동의 비율에 따라 달라짐. cf:myoelastic-aerodynamic theory of pho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