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opsychology 신경심리학: 뇌를 중심으로 하는 신경계와 언어, 인지를 중심으로 하는 심리기능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학문이다. 뇌의 손상이 행동과 정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고 있다.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신경심리학적 검사: 후천적이거나 선천적인 뇌손상과 뇌기능장애를 진단하는 검사이다. 신경심리검사는 본질적으로 뇌와 행동과의 관계를 다루고 뇌손상이나 신경병리적 조건에 따른 인지기능 및 행동적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므로 적절한 평가를 위해서는 신경해부학, 신경병리학, 행동의 신경학적 기본원리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neurolinguistics 신경언어학: 뇌와 언어에 대한 연구. 언어 처리와 형성을 책임지고 있는 뇌의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에 관한 연구. 언어의 이해 및 표현을 위한 신경학적 프로그래밍과 언어 및 조음에서 이상이 생기는 원인 등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 실어증, 말더듬, 운동구어장애 등에서 언어이상을 설명할 모델을 구성하기 위한 연구가 임상언어학에서 이루어져 왔고, 뇌가 언어의 조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여러 가지 가설들도 있다.
synaptic 신경연접의: 신경연접의 혹은 신경연접과 관련된.
neuromotor 신경운동학적: 근육에 신경 충격이 가져오는 효과의(에 관한). 원심성 신경충동과 관계됨.
neuronal circuit 신경원 회로, 신경회로: 다른 신경원들과 시냅스가 일어나는 연접지점에서 연결된 신경원 연쇄에 의한 충동의 전달. 이들 회로의 기능에 따라 조직 형태가 다름. neuron 참조.
neuro- 신경의: 신경 또는 신경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접두어.
neurogenic stuttering 신경인성 말더듬: 신경계 병변 이후 말더듬이 나타나는 경우로 후발성 말더듬 중에서 가장 일반적이다. 신경인성 말더듬을 유발하는 뇌졸중, 뇌종양, 뇌외상 등은 다양한 신경계 기능장애를 초래하는 데 신경인성 말더듬 발생은 흔히 대뇌의 특정한 병변 위치와는 관련이 적은 것으로 보고된다. 신경인성 말더듬은 발달성 말더듬과 달리 음절 단위에서 말더듬의 빈도가 매우 높으며 부수행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말하는 상활이나 시간적 압력, 문법적 복잡성과 같은 요소에 관계없이 말더듬이 나타난다. 말더듬은 단어의 어중이나 어말에도 나타나며 내용어 뿐만 아니라 기능어에서도 나타나며 같은 내용을 읽어도 적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자신의 비유창성에 대해 긴장과 공포를 보이지 않는다.
neurotransmitter 신경전달물질: 시냅스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로 도파민, 아세틸콜린, 아데노신, 세로토닌 등이 있으며 신경충격에 의해 분비되어 다른 뉴런의 활동을 활성혹은 억제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