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ology 신경학: 신경계와 신경계 관련 질환을 연구하는 학문. 성인 인체의 ‘뇌’나 '신경’계를 취급해 영역으로 하는 내과학의 한 분야로, 신경내과학이라고도 호칭된다. 내과학과 정신의학의 양면으로부터 발전해, 동영역을 외과분야에서는 신경외과로 취급해, 소아의 뇌, 신경, 줄기 질환의 간질이나 발달장애는 소아신경학에서 취급한다.
neurogenic speech disorders 신경학적 말장애: 신경학적 손상으로 나타나는 말장애. 말소리의 왜곡, 대치, 생략을 보이는 의사소통장애이다. 다른 말장애와는 달리 말 산출에 필요한 운동을 조정하는 신경체계의 기능이상에 의해 초래된다.
neurological dysfunction 신경학적 비기능: 일반적인 학습 불능이 아니라 변경된 처리과정의 문제인 뇌손상에 관한 용어. 그러한 손상을 가진 사람은 보통 정상과 지각적이고 통합하는 조직의 차이를 경험하기 때문에 정상인과 다르게 학습하는 경향이 있다.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일 수 있다. learning disability,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참조
neurological impairment 신경학적 장애: 중추신경계(뇌, 척수, 신경절과 신경)의 손상으로 생기는 신체적 장애이다.
extensor thrust reflex 신근 반발 반사, 과도한 턱 떠기: 골반의 윗부분을 잡고 양 뒤 꿈치가 바닥에 닿게 하여 양쪽 다리를 세웠을 때 다리의 신전근의 긴장도가 강화되어 뒤꿈치를 들고 뻣뻣하게 서는 반사행동이다. 생후 4주까지는 정상이지만 3개월 이후에 나타나면 비정상이다.
novelty 신기성: 창의성의 주요한 한 특성으로서 예상했던 것이 아닌 독특함을 의미한다. 신기성은 새로운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데서 나타나게 되는데, 새로운 결과물이란 다른 사람들이 이미 생산해 낸 것과는 다른 것으로서 창의성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과거의 어떤 것을 뛰어넘는 것이다. 어떤 결과물이 새롭다고 하는 것은 사람들의 이전 경험에 달려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에게는 신기한 것이 다른 사람에게는 아닐 수도 있다. 어떤 결과물은 개인적 수준에서, 지역적 수준에서, 그리고 국가적 혹은 세계적 수준에서 신기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neoloxia 신독증: 낭독된 부분이 해당 언어에 상응되지 않을 경우.
reliability coefficient 신뢰도 계수: 어떤 검사에서 두 가지 형태 사이, 즉 같은 검사에서 두 번 실시하여 나온 점수들 사이, 또는 어떤 검사를 반으로 나누어서 그 두 개 사이 등에서의 상관계수를 말한다. 세 가지 측정방법 모두가 신뢰도 결정이 다르지만, 모두가 신뢰도 계수로써 적절하다고 말한다.
reliability 신뢰도, 신뢰성: 신뢰도는 검사에 의해 제공된 측정의 일관성을 가리킨다. 검사자간 신뢰도와 검사자 내적 신뢰도로 나누어진다.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점수 대 점수의 일치도로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검사자들이 각 검사 항목에서 판단한 것을 비교하는 것이다. 검사자 내적 신뢰도란 꼭 같은 데이터를 서로 다른 시간에 채점한 판단을 비교하는 것이다. 검사자간의 신뢰도는 검사자들 사이에서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검사자 내적 신뢰도는 한 검사자의 자기 판단에 있어서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뢰도를 검사하는 방법에는 재 검사법, 동형 검사법, 반분 신뢰도법, 문항 내적 합치도법 및 크론바흐의 알파 계수법 등이 있다. ①재검사 신뢰도: 1개의 평가도구 또는 검사를 같은 집단에게 2회 실시하여 전후의 결과에서 얻은 점수를 기초로 하여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전후의 점수 사이에 어느 정도의 안정성이 있느냐를 보는 관점이기 때문에 안정성 계수라고도 한다. ②동형검사 신뢰도: 미리 2개의 동형검사를 제작하고 그것을 같은 피검자에게 실시해 서 두 동형검사에서 얻은 점수 사이의 상관을 산출하는 방법이며, 흔히 이것을 동형성 계수라고 한다. ③반분 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동질성 계수를 보는 방법으로 1개의 평가도구 또는 검사를 한 피험집단에게 실시한 다음 그것을 적절한 방법에 의해 두 부분의 점수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두 부분을 독립된 검사로 생각해서 그 사이의 상관을 계산하는 것이다. 이 검사는 재검사 신뢰도가 부적당할 때, 또 동형검사를 만들기가 어려울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많이 이용된다. ④문항 내적 합치도법: 피험자가 각 문항에 반응하는 일관성, 합치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반분신뢰도에서 분할 된 부분을 독립된 각각의 검사로 생각하듯이 여기에서는 검사 속의 각 문항들을 모두 독립된 1개의 검사단위로 생각하고 그 합치도, 동질성, 일치성을 종합하는 입장이다. 그래서 문항 내적 합치도(inter-item consistency)라고 하며, 쿠터와 리처드슨이 개발했기 때문에 쿠터-리처드슨 방법이라고도 한다. ⑤크론바흐의 알파 계수법: 논문형 문항과 같이 1개의 문항이 여러 단계의 점수로 채점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 계수로서 알파계수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흔히는 급내상관(intraclass correlation)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크론바흐의 알파 계수는 검사의 신뢰도 계수의 기초인 상관계수가 갖는 단점 및 호이트가 제안한 변량분석의 한 계를 극복하고 모든 제약으로부터 해방시키는 방법으로 제안된 가장 측정학적 결함이 적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