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exia with agraphia 실서증이 있는 실독증: 실비안열구의 뒷 끝에 있는 각회영역의 장 애로 일어난다. 이러한 장애는 브로카와 베르니케영역에서 시각연합피질이 연결되지 않 아서 단어의 시각상이 청각구어영역이나 운동구어영역에 전달되지 못한다.
aphonia 실성증, 발성불능증: 성의 남용, 기질적 질병, 불안 같은 심리적인 원인으로 발성능력이 손실되는 상태. 후두 이외의 원인에는 갑상선종이나 동맥암과 같이 덩어리 가 후두의 신경을 압박하거나 뇌의 장애로 후두근이 경련 또는 마비되었을 때 일어난다. 히스테리성 실성증과 같은 심인성에서 오는 것도 있다. 히스테리와 같은 심인성이나 성 의 마비, 성의 과용 등과 같은 기질성의 결과로 올 수도 있다. 성가 진동하지 않 기 때문에 발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그 종류로는 히스테리성 실성증, 간헐성 실 성증, 마비성 실성증, 경련성 실성증 등이 있다. voice disorders of phonation 참조.
aphonic 실성증의: 실성증과 관련 있는
absence seizure 실신 발작 : 경련을 동반하지 않는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특징인 전신 발작의 일종. 사람이 하던 것을 멈추고 몇 초 동안 먼 곳을 응시하 며 눈을 계속 깜박거리고 무반응 상태가 되는데, 체로 자신의 발작을 알아채지 못한 다. 전구증상 및 자세변화 없이 수 초 간의 의식소실이 하루에도 수 회에서 수백 회까지 반복되는 양상을 보인다.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소아기에 발생하여 사춘기 이후에 호전되는 비교적 흔한 소아경련성 질환이다. 소발작(petit mal seizure) 또는 부재발작이라고도 한다.
syncope 실신, 기절, 어증음 소실, 어중음 생략: 1. 외상이나 발작과 관계없는 의식의 소실과 동반된 전신적인 근위약감을 말한다. 실신은 갑작스런 뇌대사의 장애로 발생되며 보통 저혈압에 의하여 초래된다. 어지러움이나 두통이 있고 회복 후에 신경학적인 후유증은 없다. 원인은 혈액에 공급되는 산소의 부족(저산소증, 빈혈 등) 영양부족(저혈당), 뇌혈관장애 및 정서적 장애(스트레스)등이다. 2. 단어 내에 있는 음절의 삭제 혹은 발화 내에 서 단어 전체를 삭제하는 것. 예) did you eat = dijeet.
aphasia 실어증: 정상적으로 언어를 습득한 사람이 뇌의 손상에 기인하여, 구어적 상징 기호의 조작(예: 연관, 저장, 재인 그리고 규칙의 실행)에 효율성이 저하된 상태를 말 한다. 실어증의 일반적인 원인은 뇌일혈, 뇌 상해 및 뇌 종양 등이다. 언어 습득 후에 뇌반구의 국한된 영역에 장애가 일어나 그로 인해 단어-재현력 문제, 이해 문 제, 낭독에서 청각 및 읽기 문제, 반복 문제, 일련의 구어 및 쓰기 문제 등을 나타내 며, 말하기, 읽기, 쓰기, 계산하기, 몸짓 등에도 어려움을 나타낸다. 언어기호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능력을 실어증(aphasia)이라 하는데 보통 이러한 상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러한 장애보다 가벼운 것을 부전실어증이라 한다. 이 들은 혼란되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일반어휘를 기억하지 못하거나 매우 단순한 지시 이외에는 이해하지 못한다. 실어증은 주로 언어 중추가 있는 좌반구 손상으로 일어난 다. 부분의 실어증자들은 뇌 손상을 입은 반쪽에 편측마비(hemiplegia) 또는 한 쪽 팔과 다리에 근육의 약증을 나타낸다. 경우에 따라서는 영향을 받은 편에 감각손실 로 고생한다. 실어증자들은 가끔 시야의 반 이상을 보지 못하는 시력장애인 반맹증 (hemianopia)을 나타낸다. 3~4개월 내에 자연회복이 많이 이루어지며, 부분 6개월 이 후에 어떠한 개선이 일어난다면 그것은 그 환자 자신의 재학습 노력 또는 언어치료사의 가르친 노력에 의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외상적인 뇌상해를 입은 사람들은 자연회복 의 기간이 더 길고 의사소통의 개선이 극적으로 좋아지는 "계단식" 형태를 따르는 경향 이 있다. 뇌손상의 범위와 위치 및 환자의 연령, 지능, 동기 등이 회복에 중요한 요 인이 된다. 청각인지와 이해에서 지속적인 문제 혹은 심한 운동구어장애를 나타내는 사 람은 현저한 개선이 적다. 실어증의 종류는 기술하는 분류방법에 따라 다르다. 학자들 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류하는데, Boston 학파의 분류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 다(aphasia classification 참조). 실어증 검사에 사용되는 주요한 평가도구들로는 보 스턴 실어증 진단 검사(Boston Diagnostic Aphasia Examination), 웨스턴 실어증 종합 검사(Western Aphasia Battery), 미네소타 실어증 감별 진단 검사(Minnesota Test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phasia), Whurr 실어증 선별검사(Whurr Aphasia Screening Test) 등이 있다. 실어증에 있어서 국재론(위치론)과 전체론이 있다.
aphemia 실어증, 운동성 실어증: Broca 영역을 발견한 Paul Broca의 시에 사용하였던 실어증에 한 역사적인 용어. 말하지 못하는 능력을 가리킨 예전의 용어로, 현재의 용 어로는 aphasia를 말한다. pure aphasia 참조.
Examining for Aphasia-3(EFA-3) 실어증 검사: Eisenson이 개발한 청소년 및 성인용 실어증 검사. 33개 하위 검사가 수용과 표현 기능의 강점과 약점의 영역을 결정하도록 도움.
aphasia classification 실어증 분류: 실어증 분류는 크게 보스턴학파에서의 분류와 미네 소타 학파에서의 분류가 있다. 실어증 보스턴학파의 창시자인 Geschwind(1926-1984)은 보스턴 지역을 중심으로 국소론 및 연결론을 부활시켜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실어증 분류체계를 확립하였다. 이 체계에 따르면 실어증은 크게 유창성 실어증과 비유 창성 실어증으로 나뉜다. 유창성 실어증에는 베르니케실어증, 연결피질 감각 실어증, 전도 실어증, 명칭실어증이 있다. 비유창성 실어증에는 브로카실어증, 전반실어증, 연 결피질운동실어증, 혼합연결피질 실어증이 있다. Schuell(1907-1970)은 국소론과 및 연 결론보다 전체론적 입장에서 실어증을 연구하는 미네소타 학파로 5개의 주요 범주와 2 개의 하위 증후군을 포함하는 실어증 분류를 제안하였다. 5개 범주는 단순 실어증 (simple aphasia), 시각장애를 수반한 실어증, 지속적인 비유창성을 수반한 실어증, 단 어 찾기(scattered findings)가 어느 정도 가능한 실어증, 감각운동성 장애를 수반한 실어증이다. 2가지 하위 증후군은 간헐적인 청각적 지각장애를 수반한 실어증과 비가역 성 실어증 증후군이다. Schuell은 실어증은 특정한 언어 양식에 문제를 가지는 것이 아 니라 모든 언어 양식에서 문제를 가진다고 믿었으며, 이 이론에 근거하여 미네소타 실 어증 감별진단 검사(MTDDA)를 고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