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hasia Screening Test 실어증 선별 검사: 1974년에 Whurr가 실어증의 심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선별 검사이다. 이 검사는 이해 및 표현언어 의사소통의 모든 양식을 포함하고 있다. 각 하위 검사는 5점으로 채점된다. 점수를 프로파일 차트에 표시 하면 환자의 장애정도와 치료 시작 수준에 한 정보를 얻는다. 경우에 따라 BDAE나 MTDDA와 같은 보다 공식적이고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Aphasia Language Performance Scales(ALPS) 실어증 언어 수행력 검사: Helm-estabrooks가 개발함. 실어증과 관련된 언어 및 의사소통 손상을 평가. 9개의 하 위 검사들의 점수를 합산하며, 프로필은 수행의 중요한 영역을 설명.
Language Modalities Test for Aphasia 실어증 언어 양식 검사: 성인 실어증의 수용 및 표현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한다
Aphasia Clinical BatteryⅠ 실어증 임상 검사 1: 4가지 요소의 발화를 통한 단단어, 단 어 재인의 혼란, 구두 실행증, 청각 프로세싱, 착어증, 실독증, 실서증, 실문법증, 준 문법(paragrammatism) 등에 초점을 맞춘 검사도구이다.
aphasiologist 실어증 학자: 실어증 환자의 손상된 구두 언어 행동에서 나타나는 언어를 연구하는 사람
Psycholinguistic Assessments of Language Processing in Aphasia(PALPA) 실어증에서 언어 프로세싱에 관한 심리언어적 평가: 1990년 Kay와 그 동료들이 개발하였다. PALPA는 성인 실어증자의 언어 프로세싱에 대한 포괄적인 심리언어적 평가를 하는 것이다. 평가하는 언어 프로세싱 영역은 철자법, 음운론, 단어와 그림의 의미론, 형태론, 구문론 등이다. 어휘 결정하기, 반복, 그림명명하기 등으로부터 환자의 반응을 얻는다. 그래서 여러 가지 검사들이 구어와 문어의 수용 및 표현을 평가한다.
Promoting Aphasics' Communicative Effectiveness(PACE) 실어증자의 의사소통 효과를 촉진하기: 1980년에 Davis가 개발한 것으로, 실어증환자에게 사용되는 치료기법이다. 이것은 치료사와 환자가 대화 상황에서 동등하게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도록 만들어졌다. 치료회기는 일상의 일대일로 얼굴을 맞대고 하는 대화를 하는 것과 유사하다. PACE는 4가지 원리에 근거하고 있는데 치료사와 환자 사이의 동일한 참여, 치료사와 환자 사이에 새로운 정보 전달, 의사소통 양식의 자유스런 선택, 치료사로부터 자연스런 피드백. PACE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때, 환자는 치료사 또는 집단의 다른 참여자에게 어떤 새로운 정보로 의사소통을 하기 때문에 치료가 즐거운 것이다.
aphasic alexia 실어증적 실독증: 쓰인 상징기호와 의미와 소리 연합의 일반화된 손상으 로 인한 이차적인 구어의 손상을 말한다.
aphasic phonological impairment 실어증적 음운장애: 운동장애와 반되는 것으로써 언어학적 장애로 보이는 조음 상의 결함. apraxia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