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hasiology 실어증학: 모든 유형의 실어증에 관한 연구. 실어증자들의 손상된 구어 행 동에서 나타나는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
faux pas 실언, 사회적인 실수, 헛디딤 말: 어떤 사람이 실수로 하지 말아야 할 말을 했을때, 그 말을 들은 사람의 기분이 매우 상하거나 모욕감이 들어야 하는 말을 의미 한다.
aprosody 실운율증, 운율 장애, 무운율: 속도, 톤, 다양성과 같은 정상적인 음성특성에 서 운율적인 결함을 말한다. 운율 단서의 해석에는 우반구가 좌반구에 비하여 절적으 로 우세하지만 운율의 산출에는 좌우 반구가 모두 관여하며, 단지 각 뇌 반구가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운율은 두 부류의 단서로 구성되는데, 즉 한 단서 는 피치 혹은 음색과 관련된 것이고 다른 단서는 타이밍과 관련된 것이다. 좌반구는 순 차적 처리 과정에 우세한 반면, 우반구는 음색의 처리 과정에 더 우세하므로 좌반구와 우반구에 병변이 있을 경우 초래되는 운율장애는 서로 다르다. 우반구의 전측 영역에 손상을 입을 경우 초래되는 것이 실운율증이다. 좀 덜 심한 형태를 종종 부전운율증 (dysprosody)이라고 한다. Syn: hypoprosody(과소운율증).
real-ear unaided response 실이공명반응: 입력음압이 포함된 종합적 음압을 말하며, 입력 음압을 기준으로 외이도의 자연공명효과를 계산하는 상태적 음압이다. 개개인의 값은 다르나 일반적으로 1차 공명은 2700Hz에서 17~21dB, 2차 공명은 4~5kHz에서 12~14dB 증폭된다. real-ear measurement 참조.
real-ear insertion response 실이삽입반응: 실이공명반응(real-ear unaided response)과 실이증폭반응(real-ear aided resonse) 간의 차이를 전 주파수에 걸쳐 연속적으로 기록한 것. 보청기의 목표 이득과 일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다. real-ear measurement 참조.
real-ear gain 실이증폭: 음장(sound-field) 환경에서 개인의 귀에서 측정할 때 보청기의 출력.
real-ear aided response 실이증폭반응: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주파수별 음압을 측정한 값. 실이공명반응(REUR)은 보청기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검사를 실시하는 반면, 실이증폭반응(REAR)은 보청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검사를 한다. 보청기 착용 시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real-ear measurement 참조.
Real-Ear Measurement 실이측정: 이 기법은 보청기에 장착되어 외이도에 부착된 프로브 마이크로폰을 사용한다. 이 기법으로 청각사는 외이도에서 보청기의 반응을 측정할 수 있다.
agnosia 실인증, 인지 불능증: 실어증 환자가 감각 정보(시각, 소리, 촉각, 느낌)를 통해 일상 사물을 인식하는 데 겪는 어려움. 생리적인 수용기 조직은 완전하더라도, 감각정 보에 의미를 덧붙이는 능력의 상실. 보통 중추신경계의 장애와 관련됨. 실어증 환자는 말을 들을 수 있고, 물체를 보고, 만질 수 있지만, 그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또 보 고 만진 것이 무엇인지를 알지 못한다. 선천성 혹은 후천성 실인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