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orpheme 실질형태소: 발화에서 (실)명사 또는 내용적 측면. =lexical morpheme. morpheme 참조.
parapraxis 실책 행동: 말하는 사람이 무의식 속에 있던 것을 드러내어 실수하는 것을 뜻한다. 실수, 말의 실수, 기억의 착오 등과 같은 여러 현상들을 가리키는 용어로 프로이트가 이런 행동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이것을 무의식적 동기에 의해 결정되는 증상적 행위이며, 금지된 충동이나 생각과 이것들에 반대하는 검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타협 형성으로 보았다. parapraxia 참조.
action teaching 실천 교수: 직접 교수뿐만 아니라 현장, 인터넷을 통한 시연 및 과제를 통하여 사회적 문제와 수업의 통합을 추구하는 교수법. 학생들이 교과서의 정보뿐만 아니라 중요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과 융합하여 상호작용적 경험을 하도록 한다.
entity-locative 실체-장소: 행위 없이 명명된 사물이나 소유물, 아동이 사용한 의미가 명사이기는 하지만 의미가 확실하지 않을 때 실체로 분석한다. 장소는 사물이나 사람이 놓여있는 곳이나 어떤 행동이 취하여지는 지점을 나타내는 의미유형이다. 엄마가 식탁 위 우유를 가리키며 "우유 어디 있어?"라고 물었을 때 아동이 "우유 저기" or "우유 식 탁"로 발화한 경우의 의미관계 유형이다.
substantive word 실체어, 체언 단어: 1. 체언 어절이라고도 하며, 어미활용을 하지 않고 조사를 취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명사·대명사·수사를 총칭하는 술어를 한 단어 및 그 이상의 이어진 단어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문장 구성의 한 단위. 2. 특정 실체나 어떤 공통 특징이 있는 실체의 한 유목을 가리키는 단어.
execution 실행: 컴퓨터를 명령어에 따라서 작동시키는 일.
executive aphasia 실행 실어증: 말하기, 쓰기, 제스처 등을 통한 의미 있는 메시지 전 달에 있어서의 어려움. Broca's aphasia 참조.
apractognosia 실행 실인증: apraxia 참조.
action research 실행 연구: 연구자가 자신이 처한 현실을 더 잘 이해하고 개선하는 활동을 추구하면서 수행하는 연구.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이나 접근 방법을 개발한 뒤 현장에서 직접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