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ecutive control 실행 조절, 실행 제어: 여러 과제의 수행을 순서에 맞게 조정하거나 한 과제 수행의 시작, 진행, 종료 등을 집행하는 것.
praxis 실행능력, 행동: 1. 숙련된 동작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능력. 2. 행위의 수행.
apraxia 실행증: 근육의 약화나 마비는 없고 환자가 지시자의 말을 충분히 이해하고 수행 할 수 있을 정도의 의식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계획을 세우는 뇌 의 영역에 나타난 이상 증상으로 인하여 이미 학습되어 할 수 있는 운동이나 몸짓을 못 하는 장애를 말한다. 뇌의 특정한 영역, 개 전두엽 전운동영역이나 두정엽 뒤쪽의 손상에 의해 일어나며, 근육 운동의 자발적이거나 의도적인 프로그래밍의 장애를 포함 한다. 말초의 운동 및 감각의 손상이나 마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숙련된 목적 있는 행동을 하지 못하며, 특히 물체를 적절히 사용하지 못한다. 실행증은 발달성이나 후천 성이 있으며, 후천성인 경우는 보통 중추신경계 장애와 관련이 있다. 불수의적인 움직 임은 손상되었지만 남아있다. 덜 심한 경우를 부전실행증(dyspraxia)이라 한다. 구어에 서는, 구어 근육 영역의 프로그램과 의도적인 구어 산출을 위한 근육 운동(호흡, 후두, 구강)을 중단하는 능력의 손상으로 인하여 비언어적 조음이 이루어진다. Syn: oral apraxia, speech apraxia, verbal apraxia. aphasic phonological impairment 참조.
nonapraxic disorders of motor execution 실행증에 기인하지 않은 운동집행장애: 말초형 실서증(peripheral agraphia)의 한 유형으로 글씨 쓰기에 필요한 운동학적인 요인에 해당하는 힘, 속도, 강도 등을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 소자증, 대자증, 쓰기 집행시 부적절한 움직임 등이 나타나며, 신경해부학적 병소는 기저핵과 소뇌 등이다.
apraxic agraphia 실행증적 실서증: 운동 시스템의 붕괴와 연관된 쓰기 언어 산출의 손 상. 왜곡되고, 느리고, 과도하게 노력하고, 불완전하며 모호한 철자 형태를 초래한다. 비록 글로 쓰인 글자는 매우 형편없어 거의 읽을 수 없지만, 소리 내어 읽는 능력은 종 종 유지된다. 이 형태의 실서증은 다른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기능 장애가 아닌 철자 형태에 관한 특수한 운동 계획의 손상에 의한 것이다. 실행증적 실서증은 관념운 동성 실행증(ideomotor apraxia)이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 마비, 무도(chorea), 파킨 슨병, 근긴장이상(dystonia)은 일반적으로 실서증과 관련된 운동 장애이다.
experimental psychology 실험심리학: 실험(experimentation)이란 말은 많은 형태의 심 리학자 특히, 행동주의자와 인지심리학자들이 사용한다. 이들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유 형의 자극에 어떻게 반응하고, 어떻게 학습하며, 자신들의 기억과 정서적인 반응들을 어떻게 이용하며, 그들이 행동을 취하기 위해 어떻게 동기를 부여 받는가 등을 알기 위 해 실험을 한다. 또한 조건화, 학습, 인지, 동기, 정서, 언어, 사고 등에 관심을 가진 다. psychology 참조.
experimental phonetics 실험음성학: 현재는 생리학적인 면에서 실험하므로 일반적으로 음향음성학이라고도 한다. 언어 음성의 물질적인 속성을 기록, 분석, 측정하기 위해 녹 음기, 카이모그래프, 모실로 그래프, 스펙트로그래프 혹은 광학현미경(oscilloscope) 등 기계 및 전자 장치를 이용해서 자연과학적으로 실증하는 음성학 연구를 총칭하는 용 어. phonetics 참조
experimental hypothesis 실험적 가설: alternate hypothesi
experimental ablation 실험적 절제: 뇌의 어떤 부분을 손상시키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동물의 행동 변화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19세기 프랑스 생리학자인 Flourens는 동물 뇌 의 다양한 부위를 제거하고 나서 손상된 동물들이 어떤 것을 더 이상 할 수 없는가를 관찰함으로써 뇌의 상실된 부위의 기능을 추리할 수 있었다고 한다. 이런 방법을 실험 적 절제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