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심리극

psychodrama

psychodrama 심리극: 1946년에 Moreno가 개발한 사회성 능력 훈련에 사용된 치료기법. 심리치료에서 환자들이 자발적으로 연극에서 배역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점들을 행동으로 나타내는 심리치료의 형태. 이 기법은 통찰력, 모델링, 체계적인 둔감, 사회성 능력, 주장훈련 등과 같은 것을 산출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기법은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서로 나누고, 환자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어려운 어떤 상황에서 자신들의 감정을 명확하게 표현하도록 만들어 주도록 도와준다. 이 기법은 또한 집단 내에서 감정이입을 증진시킬 수 있다. 종종 말더듬인들이 가장 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구어 및 관련 행동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말더듬인들이 할 수 있는 노력을 하도록 말더듬인에게 사용된다. 

심리사회적 불리

psychosocial disadvantage

psychosocial disadvantage 심리사회적 불리: 적어도 양친 중 한쪽 부모나(형제가 있다면) 한 명 이상의 형제에게서 보이는 평균 이하의 지적 기능에 대해서 증거가 필요한 지적장애의 원인 범주. 보통 열악한 주택사정, 부적합한 식사와 의학적 조치를 포함하는 궁핍한 환경과 관련이 있음. 종종 문화적-가족적 지체와 동의어로 쓰임. 지적장애가 열악한 사회적 문화적 환경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을 암시함. 

심리사회적 하중

psychosocial load

psychosocial load 심리사회적 하중: 말더듬의 예에서, 부모나 주위 사람들의 자신에 대한 넘치는 기대로 인한 심리적인 부담감으로, 자기 스스로가 감당할 수 없는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해 말더듬 현상이 일어난다. 

심리언어학

psycholinguistics

psycholinguistics 심리언어학: 인간 언어활동의 발생과 언어의 습득, 언어의 처리 등에 포함되는 심리적인 제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심리언어학자는 언어를 이해하고, 생산하고, 기억하는 등의 문제를 연구한다. 언어를 습득하는 동안에 아동들의 행동을 보여주기 위해서, 사람들이 그들이 말하고자하는 것을 어떻게 결정하는지, 또 그것을 어떻게 산출하고, 청자는 그것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등을 보여주기 위해서 심리학적 이론들과 함께 연구되는 언어학 분야를 결합하여 연구하는 분야. 문법적인 복잡성과 심리학적인 복잡성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와 또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언어에 관해 알고 있는 것과 그 언어를 사용하는 방법 사이를 구별하고자 하는 노력도 한다. 

심리언어학적 접근

psycholinguistic approach

psycholinguistic approach 심리언어학적 접근: 언어에 반영된 인간의 정신작용에 대해서 과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넓게 보면, 언어에 내재된 심리적 기제를 밝히려는 모든 시도가 심리언어학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심리언어학적 평가도구

Psycholinguistic Rating Scale

Psycholinguistic Rating Scale 심리언어학적 평가도구: 유치원~8세 아동의 다양한 하위검사들을 통하여 적절한 학급에서의 심리언어학적 행동들을 측정. 

심리역학 이론

psychological theory

psychological theory 심리역학 이론: 개인의 적응 문제뿐만 아니라 보통 정신 분석적인 사고와 관련된 보다 심한 장애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한 이론이다. 정신 분석학적 이론에서 심리역학적 이론은 원래 성격 및 심리 사회적 발달에 대한 Freud의 관점에 근거를 두고 있다. Freud는 아동 발달에 구순기와 항문기에 중요성을 두고 있기 때문에 어떤 정신 분석 학자들은 이러한 시기를 전후하여 말더듬이 일어난다는 이론을 주장하였다. 예를 들면, Coriat(1927, 19931, 1943)는 말더듬을 구강기 고착 현상의 결과로서 보고 있다. 그러나 Glauber(1958)는 말더듬인은 충동(id)과 초자아(superego) 사이에 갈등을 겪는다고 생각하였다. Travis(1971)는 말하는 것에 관한 말더듬인들의 상반 감정 병존(ambivalence) 때문에 말더듬인들이 말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하는 감정이라는 것을 제시하였으며, Barbara(1954, 1965)는 생활 장면 속에서 부적당한 대인 관계와 적응이 말더듬인의 구어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심리음향학

psychoacoustics

psychoacoustics 심리음향학: 소리 듣기의 심리적인 경험을 연구하는 학문. 1. 소리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연구하는데 관심을 가지는 심리학과 음향학을 결합한 학문 분야. 2. 음향적 특성과 이러한 특성에 대한 인간의 청각적 인지 사이의 관계에 관한 학문. psychophysics 참조. 

심리적 은유

psychological metaphor

psychological metaphor 심리적 은유: 감정, 정신 상태나 성격적 특성을 표현하는 은유의 개념 영역이다. ‘인생은 여행이다(Life is journey)’는 그 예이다. perceptual metaphor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