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idemicity 유행성: 사회 전반에 걸쳐 급속히 만연되는 성질 및 특성.
mumps 유행성 이하선염: 타액선의 바이러스성 전염으로 특히 귀 앞에 위치한 이하선의 전염이다. 이런 선(線)들의 종기는 초기에는 얼굴의 한 쪽에 나타난 후 이틀 내에 다른 쪽에도 나타난다. 전염된 사람은 입을 여는 것, 입의 건조, 붓는 동안의 통증, 열, 설사, 구토, 등을 경험하게 된다. 유행성 이하선염은 주로 5~15세 사이의 아동들에게서 일어나며, 흡기에 의해서 감염된다. 평생에 단 한 번 일어나는 게 보통이다. 증상은 14~28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나타난다. 면역체계는 12세 정도의 연령 이상일 때 유효하다. 드문 상태로 경도에서 중도의 청각 손실이 일어난다. 청각 손실은 전형적으로 한쪽에만 생긴다. parotitis epidemica 참조.
parotitis epidemica 유행성이하선염: 이하선의 종창을 주창으로 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이다. 일단 이환(罹患)되면 면역성을 얻는다. 경증인 경우는 이하선의 종창으로 발병하지만, 중증인 경우에는 식욕부진, 두통, 구토, 사지통, 배통, 발열 등을 초래하는 전구기(前驅期)가 있다. 2차적 감염 이외에 합병증은 거의 없다. 합병증으로서 고환염이 주목되고 있다. 여성에게는 유선, 난소가 침해되는 수가 있다.
style 유형: 공통되는 성질이나 특징을 가진 것들을 묶은 하나의 틀. 유개념의 하나. 단순한 추상 개념이 아니고 어떤 현상의 공통적 성질을 형상으로 나타내며, 추상적인 보편성과 개별적인 구체성이 통일 되어 있는 것을 이른다.
descriptive classification 유형 서술: 관찰 가능한 언어 행동들에 기반한 언어 장애의 분류 방법.
tangible reinforcement operant conditioning audiometry(TROCA) 유형의 강화 조작적 조건화 청력측정: 지적장애나 어린 아동들에게 사용하는 기법으로서, 적절한 반응에는 정적강화(사탕, 시리얼, 장난감)를 이용하고, 잘못된 반응에 대해서는 가벼운 벌(time-out)을 사용한다. 아동이 어떤 음을 인지할 때마다 피더박스(feeder box)에 있는 반응 단추를 누르면, 그 아동의 행동은 조건화된다. audiometry 참조.
tangible symbol 유형의 상징: 실재하고 만질 수 있는 상징. 2-3차원적인 도구적 상징을 지칭하는 단어.
effective amplitude 유효 진폭: 음이나 파형의 어떤 단계에서 평균 높이. 일차적인 음의 강도를 결정하는 인자
effective masking 유효 차폐: 특정한 청력 역치 수준에서 어떤 신호(동일한 이어폰 하 에서)를 차폐하기 위해 요구되는 잡음의 최소 양. 예) 50㏈ 유효 차폐는 50㏈ 청력 역 치 신호를 차폐할 것이다. masking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