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애착

attachment

attachment 애착: 애착은 영아가 보호자와의 결속을 통해 안전 기지를 마려해 나가는 점 진적인 과정으로 정서적으로 가장 가까운 상과의 관계에서 경험되는 것을 지칭한다. 영아는 편안함과 안전함을 원할 때, 다가가기, 울기, 접촉하기와 같은 애착행동을 보이 며, 보호자가 자신의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인식하면서 애착을 형성한다. 애착의 세 가지 유형은 "안정 애착 집단", "불안정 애착 집단"(회피 집단), "불안정 애착 집단 "(저항 집단)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연구자들은 모든 아기들이 1세경에는 그들의 어머니와 애착을 형성하지만 애착의 질은 아동에 한 어머니의 반응에 따라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다. 부분의 아기들은 "안정 애착"을 형성하는 한편, 어떤 아기들은 "불안 정 애착"을 형성하는 데, 그 이유는 어머니가 아기가 울 때에만 반응하고, 다른 때에는 반응하고자 하지만 실패하기 때문이다. 회피행동은 어머니의 적의나 거부와 관련되는 한편 저항행동은 어머니의 무반응과 관련이 있다. 더 많은 연구들에서 2세경까지 안정 애착 집단에 있는 아동들이 새로운 경험과 관계를 처하는 데 더 잘 준비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애착 장애

attachment disorder

attachment disorder 애착 장애: 아동 초기의 부적절한 애착 형성으로 지속적으로 정서 및 사회적 관계 형성에 곤란을 겪는 장애이다.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DSM-Ⅳ) 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와 구별하며 부모의 학나 방치 또는 시설 기관에서 자라는 것 과 같은 극단적인 양육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DSM-IV에서는 애착장애를 억제형과 탈억 제형의 두 유형으로 나누고 있다. 억제형의 특징은 양면적이고 억제되고 무반응적이고 또 지나치게 조심스러운 사회적 반응을 나타낸다. 탈억제형에서는 여러 사회적 상황에 서 비변별적인 지나친 사회성을 가지며, 선택적인 애착을 보이지 않고 낯선 사람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잘 조절하지 못하는 특징이 있다.

액션 페인팅

action painting

action painting 액션 페인팅: 제 2차 대전 후 주로 뉴욕을 중심으로 일어난 추상회화의 경향. 완성된 작품에서 미적인 가치를 구하기보다는 예술가가 현실에 표출하는 행위에 가치를 두며, 회화를 그린다는 순수한 행위 자체를 강조한다.

액주형 압력계

well-type manometer

well-type manometer 액주형 압력계: U-튜브 기압계와 유사하거나 압력의 변화를 직접표시해 준다. 물이나 기름으로 채워 눈금이 조정되어 있는 압력계로 기압 변환기의 눈금조정에 이용된다.

액토미오신

actomyosin

actomyosin 액토미오신: 근섬유를 구성하고 있는 actin과 myosin으로 형성된 복합체로서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일으킨다.

앨러지

allergy

allergy 알레르기, 앨러지: 보통은 해가 없는 실체에 하여 개인의 비정상적인 과민반응 을 말한다. 먹거나 흡입하거나 주입하거나 피부와의 접촉에서 가져오는 화학 물질에 한 과민증으로부터 야기되는 신체적 질환이다. 알레르기의 징후는 종종 두통, 쇼크, 과 도한 점액 배출, 기관지의 수축, 붉어짐, 부어오름, 가려움과 같은 피부 상태 등을 나 타낸다. 이런 알레르기의 반응은 몸의 자연스런 면역체계에 오는 장애로 인해, 특히 화 학작용을 하는 히스타민(histamine)의 과다 분비에 의해 야기된다. 알레르기는 일반적 이고 종종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습진, 피부염, 발진, 복강의 질병, 알레르기성 기관 지염, 결막염의 형성(눈꺼풀 안면의 염증)과 관련된다. 알레르기는 전형적으로 복합적 이지는 않다.

앨버트 밴두러

Albert Bandura

Albert Bandura 앨버트 밴두러: 미국의 심리학자로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의 주창자, 현 교육심리학 분야의 석학이다. 아이오와학교 시절 학습이론가 인 스펜스(Kenneth Spence)의 영향을 받아 행동수정이론, 관찰학습, 자기효능 등에 관 해 연구하였다.

야맹증

night blindness

night blindness 야맹증: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에 들어갔을 때 사람의 눈이 어두워진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비타민 A의 결핍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외에도 망막색소변성, 황반변성, 선천성 비진행성 야맹증, 녹내장으로 인한 경우, 페노티아진계 약물 복용으로 인한 경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nyctalopia.

야맹증

nyctalopia

nyctalopia 야맹증: night blindness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