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ral children 야생 아동들: 사람과 분리되어 야생 동물 혹은 야생에서 홀로 양육되어 성장한 아동들.
Jakob-Creutzfeldt disease 야콥-크로이츠펠트 병: 중추신경계(CNS)를 감염시키는 해면상의 뇌질환. 서서히 중추신경계 전반으로 진행되며, 치매를 일으키게 된다. 35~63세사이에 있는 사람들에게 주로 발병되며, 세계적으로 넓게 발견된다. 6개월에서 3년 정도 병이 진행된다. 그 증상으로는 단기기억의 상실(memory 참조), 실어증, 환영 등이있다. 환자들은 또한 피질성 맹(cortical blindness), 운동 실조증(cerebral palsy 참조), 간대성 근경련(myoclonus)으로 인해 고통 받을 수도 있다. 이것은 치매로 급속하게 진행되며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다.
weak stress 약 강세: 어떤 단어 내에 있는 음절에 주어진 아주 약한 강세로 이러한 음절은 짧고 종종 낮은 음도로 나타나고, 음질에 있어 불분명하다. 관습적으로, 심볼이없는 것은 약한 강세를 나타내지만, u, ə, ɚ, ṃ, ṇ, ḷ, u 등의 기호를 약강세 표기에사용한다.
iambic stress 약강격 강세, 단장격 강세: 일반적으로 자음-모음-자음-모음(CVCV) 연결에서처럼, 첫 번째 음절은 강세가 없고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는 2음절의 강세 패턴으로, 조음 훈련에서 하나의 자극으로 사용된다.
weak syllable deletion 약강세 음절 생략: 강세가 없는 한개 이상 음절을 생략하는 것.'banana' ['nanə] 'pyjamas' ['daməd].phonological processes 참조.
amblyopia 약시: 눈 구조의 뚜렷한 변화 없이 시야가 흐려지는 것으로서 교정되지 않으 면 시각장애를 초래함.
partially sighted 약시: 안경을 쓰고도 교정시력이 0.3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눈은 정상적인 시력의 발달과정이 있다. 아동의 눈은 시력이 생후 1개월이면 눈앞에서 물체가 움직이는 것을 식별할 수 있고, 생후 6개월에는 엄마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으며, 만1세면 시력이 0.1~0.2 정도이고, 3~4세면 0.8~1.0의 시력을 거쳐, 6세에 이르러 비로소 시력이 완전히 정상화된다.
soft voice syndrome 약한 소리 증후군: 과다비성을 나타내는 대상자의 보상행동 중 하나. 비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또는 약한 강도의 소리가 비성의 소리보다 사회적으로 더 받아들여지기 쉽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음성 강도를 줄여서 말한다. 이 중후군은 종종 음도의 변화가 매우 적은, 단조로운 음성을 동반한다.
soft voice 약한 음성, 부드러운 음성: 가까이 있는 사람을 깨우지 않으려고 할 때 조심스럽게 사용하는 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