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어휘 세련도

lexical sophistication

lexical sophistication 어휘 세련도: 텍스트에서 사용된 덜 흔하고 더 수준이 높은 전문적인 어휘의 사용 비율. 어떤 텍스트에서 일반적이고 빈도가 높은 어휘보다 그렇지 못한 어휘의 사용 비율이 높다면 그 언어 사용자의 언어 숙달도가 더 높다고 볼 수 있다.

어휘 실서증

lexical dysgraphia

lexical dysgraphia 어휘 실서증: lexical agraphia 참조.

어휘 원리

lexical principle

lexical principle 어휘 원리: 아동이 단어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빠르게 학습할 수 있는지 를 설명하기 위한 심성 어휘집의 작동에 한 가정.

어휘 음운론

lexical phonology

lexical phonology 어휘 음운론: 형태론과 음운론의 연관관계를 파악하도록 유도하는 이 론이다. 언어의 음운론적인 구성요소에 한 보편문법이 마련하고 있는 특별한 모형을 만들어 보고, 형태론적으로 조건지워진 규칙들에 제한을 두고, 접미 순서정하기와 순환 적이고 비순환적인 규칙들을 적용함으로써 광범위하게 갈라져 나가는 이들 특성을 상당 기간 관찰해 보고 어휘 음운론과 형태론에서 이들 특성의 설명을 원칙화하고 균일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음운론적 정보는 화자들이 낱말이 어떻게 발음되는가를 알 필요가 있으므로 관련된다. 어휘도 이런 낱말을 구성하는 '분절음들'의 표를 나타내는 변별자 질모형을 포함해야만 된다. 부가하여 다른 음운들에 음운론적 요소들의 연관을 포함하 는 특이질의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어휘 음운론은 어휘항목을 낱말과 형태소들의 특이질 속성뿐만 아니라, 또한 정규적인 낱말형성과 음운규칙을 포함하고 문법의 중심 부로서 인식한다. 형태소의 낱말 형성규칙은 여러 가지 단계에서 함께 무리지은 음운규 칙과 직접적으로 쌍을 이룬다고 생각한다. 어휘음운론의 주장을 굴절적이고 파생적인 낱말 형성 과정을 일련의 연결된 단계들로(또한 층들이라고 부른다) 나타낼 수 있다. ①어휘음운론의 1단계: 낱말 중심에 유도되지 않는 어휘항목이 있을 수 있다. 유도되지 않는 어휘항목은 단 하나의 형태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 것들은 big, boy, girl, tallk, soon과 같은 형들이다. 어떤 종류의 낱말 형성규칙도 그러한 낱말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들은 표면화되는 음운론적, 문법적, 의미론적 특성이 있는 어휘목록 속에 나타난다. ②어휘 음운론의 2단계: 2단계 규칙들은 거의 예외들이 없고 음운론적 인 결과와 의미론적인 속성들은 예측할 수가 있다. 그런데 2단계 규칙들까지도 예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라는 말을 하는 것이다(-er이 붙으면 ~하는 사람을 뜻하는 데, cooker는 요리사가 아니라 요리기구를 뜻함.). 음운론적 견해로 보아, -er 말미에 실재(實在)에는 아무런 반향도 없다. 그것은 강세 배치에 영향을 주지도 않고 -th와 같은 것 혹은 -ity의 1단계 접미사가 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 낱말의 분절음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똑같은 것이 -ful, -ly, -ness와 같은 형들의 부류에는 거의 아무 런 자의적인 제한은 없다. 그리고 그들은 기벽(奇癖)의 음운론적이고 의미론적인 속성 을 지니지 않는다. 

어휘 의미론

lexical semantics

lexical semantics 어휘 의미론: 개별 단어들의 의미에 한 연구. 'apple'과 같은 특정 한 단어가 의미를 갖고 있다고 말할 때, 그 의미라는 것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와 같은 질문이 이에 해당한다.

어휘 이해

vocabulary comprehension

vocabulary comprehension 어휘 이해, 어휘 이해능력: 말이나 글의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뜻을 이해하는 것.

어휘 이해능력

vocabulary comprehension

vocabulary comprehension 어휘 이해, 어휘 이해능력: 말이나 글의 내용에 포함된 단어의 뜻을 이해하는 것.

어휘 일지

vocabulary diary

vocabulary diary 어휘 일지: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할 때 대상자에게 가장 중요한 낱말을 선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부모는 아동의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낱말의 목록을 관찰하여 일지에 적는다. 어휘 개별화를 위해 대상 아동의 실제 경험에서 정보를 얻는 방법이다.

어휘 전 단계

prelexical stage

prelexical stage 어휘 전 단계: 아동이 초기에 맥락 의존적 단어를 사용할 때 이들이 이해하는 단어의미와 성인의 단어의미에 대한 표상이 다르므로, 일부 학자들은 맥락 의존적 단어가 진정한 단어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Behrend(1990)은 이러한 단어들이 언어를 구사하기 이전의 아동이 팔을 뻗거나 가리키는 제스처와 유사한 것으로 특정 상황에서 하는 반응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Behrend는 이러한 맥락 의존적 단어를 전어휘적 용어로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