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cabulary Comprehension Scale 어휘이해력검사: 2~6세 대명사, 위치, 크기, 질 양 등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평가.
lexical retrieval hypothesis 어휘인출 가설, 어휘 복구 가설: 구어산출의 형성부에서 제 스처가 어휘화를 직접 촉진한다는 가설.
lexical retrieval process 어휘인출 과정: 개인의 기억과정의 한 단계로 추후에 활용하기 위하여 기억하여 저장된 특정 기억 내용을 상기해 내는 과정을 뜻한다. 기억인출 방법으로는 회상과 재인의 형식이 있다. 회상(recall)이란 학습한 자료를 재생산해 내거나 반복하는 것을 뜻한다. 재인(recognition)은 회상보다 훨씬 더 쉽게 이루어지는데 이미 학습한 항목들을 틀린 항목들과 섞어서 제시하고 맞는 항목을 찾아내게 하는 것으로 진 위형이나 사지선다형과 같은 객관식 문제들을 들 수 있다
lexical fields 어휘장: 어휘소들이 어떤 식으로든지 개념적으로 또는 연상 관계에 의해서 다른 어휘소들과 더불어 어떤 장 또는 반(field)이라고 부를 수 있는 하나의 구조를 이 루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상하 관계나 결함 관계에 의해 분류할 수 있는 어휘들의 모 임이 어휘장을 형성할 수 있다
lexical cohesion 어휘적 결속, 어휘응집성: 사람, 생물, 사물, 무생물, 추상적 의미체, 행동, 장소, 사실들을 의미하는 명사를 사용해 전, 후 문장과의 관계를 분명히 함. cohesive devices 참조
lexical syntactic deficit 어휘적 구문장애: 언어장애의 하위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Rapin과 Allen(1987)이 사용한 용어. 이 장애의 현저한 특징은 단어 찾기 장애이다. 이 장애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어휘를 생각해 내는데 어려움이 있는 언어가 빈 약한 사람들과 단어찾기에 어려움을 가지나 단어를 상기하기 위한 노력으로 돌려말하기 와 단어 필러(fillers; 삽입어)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다.
lexical tone 어휘적 성조: tone 참조
lexical meaning 어휘적 의미: 1. 개별 단어들의 의미에 한 연구. 예컨, ‘desk’ 같은 특정한 단어가 의미를 갖고 있다고 말할 때, 그 의미라는 것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와 같은 질문이 이에 해당한다. 2. 언어적 의미(linguistic meaning)의 하위구분 으로, 구조적 의미(structural meaning)와 조된다. 특히 어휘변화 계열 속에서 그 기 체(基體)가 갖고 있는 의미. 예를 들면, plays, played, playing이라는 계열 가운데서, 기체 play가 갖고 있는 의미를 가리킨다. 문법적 의미(grammatical meaning)와 조된 다. word 참조.
lexical ambiguity 어휘적 중의성, 어휘적 모호성: 1. 동음이의어나 다의어를 포함한 문 장이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말한다. 농담에 쓰이는 유머, 수수께끼, 희 극 등에서 나타난다. 2. ‘배’가 신체 부위와 과일, 탈것의 여러 의미를 갖고 있는 것 과 같이 동음에 의한 어휘적 중의성을 뜻한다. ambiguity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