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xical familiarity 어휘적 친숙도: 친숙도란 잠재적으로 생물체를 수용하는 환경에 한 지식과 경험을 뜻한다. 어휘적 친숙도란 어휘, 즉 단어를 수용할 수 있는 지식과 경험 의 여부라고 말할 수 있다
lexical morpheme 어휘적 형태소: 발화에서 (실)명사 또는 내용적 측면. content word 참조. morpheme 참고.
lexically difficult word 어휘적으로 어려운 단어: lexically hard words 참조
lexically hard words 어휘적으로 어려운 단어: 목표어의 사용빈도가 낮으며, 목표어와 음소적으로 유사한 근접어의 수가 많아 근접어 도가 높고, 근접어의 평균 사용빈도가 높은 것을 뜻한다.
lexical knowledge 어휘지식: 어휘에 한 지식, 개개 낱말에 한 지식의 총합을 일컫 는 것으로, 낱말들의 형태, 의미, 화용에 관한 지식의 총체이다. 낱말의 형태에 한 지식은 특정 낱말의 철자 형태나 발음에 한 지식 및 낱말의 구조에 한 지식, 그리 고 낱말을 이루고 있는 단위에 한 지식을 포함한다. 낱말의 의미에 한 지식은 낱말 의 사전적 의미에 한 지식뿐만 아니라 여러 측면의 의미에 한 지식 및 다른 낱말들 과의 의미 관계에 한 지식을 포함한다. 낱말의 화용에 관한 지식은 낱말의 통사적 자 질에 관한 지식 및 그 낱말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여러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낱말들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낱말의 형태나 의미에 한 지식이 개념적 지식이라면 화용에 한 지식은 절차적 지식, 언어 사용 장면에서 발현 되는 낱말 사용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발음이나 철자에 관한 지식이 비교적 짧은 기 간에 획득될 수 있다면, 낱말의 의미 및 화용에 한 지식은 오랜 기간 동안의 학습을 요구한다.
vocabulary knowledge 어휘력, 어휘지식: 어휘를 마음대로 부리어 쓸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 말로, 어휘 지식이란 어휘의 형태, 의미, 화용에 대한 지식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특정 낱말을 안다고 할 때, 그것은 문자로 표기된 형태를 식별하고, 그것을 낭독(소리 내어 읽기)할 수 있으며, 그 낱말의 뜻을 알고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낱말의 형태에 대한 지식은 특정 낱말의 철자 형태나 발음에 대한 지식 및 낱말의 구조에 대한 지식, 그리고 낱말을 이루고 있는 단위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 낱말의 의미에 대한 지식은 낱말의 사전적 의미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여러 측면의 의미에 대한 지식 및 다른 낱말들과의 의미 관계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낱말과의 관계 속에서 그 낱말이 가진 섬세한 의미의 차이나 어감의 차이에 대한 지식을 포함한다. 낱말의 화용에 관한 지식은 낱말의 통사적 자질에 관한 지식 및 그 낱말을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는 능력과 여러 상황에서 접하게 되는 낱말들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낱말의 형태나 의미에 대한 지식이 개념적 지식이라면 화용에 대한 지식은 절차적 지식, 언어 사용 장면에서 발현되는 낱말 사용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발음이나 철자에 관한 지식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획득될 수 있다면, 낱말의 의미 및 화용에 대한 지식은 오랜 기간 동안의 학습을 요구한다. lexical knowledge 참조.
word knowledge task 어휘지식과제: 전통적으로 언어결함 여부를 진단하는데 사용되어온 규준참조 표준화 수용 및 표현 어휘 검사를 포함하며, 이 과제에서의 수행은 아동이검사언어에서 그 항목을 학습할 기회가 있었는지의 여부와 경험에 결정적으로 의존한다.
lexical system 어휘체계: 어휘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 을 이루고 있는 것. 한 언어의 어휘체계는 의미상 서로 관련성을 지닌 어휘들로 집단화 되어 하나의 장을 이룬다.
lexical organization 어휘체계화: 심성어휘집이 단어와 의미와의 관계를 표현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