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ction 억양, 굴절: 1. 분위기나 강조를 나타내기 위한 음성의 강도나 세기의 변화. 발성하는 동안의 음도 변화. 예) 상승, 하강, 곡절(circumflex: 상승-하강이나 하강-상승 패턴의 결합). 2. 언어학에서, 문법적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의 형태 변화. 단어의 기본 형에 접사(접두사나 접미사)를 첨가하는 과정. 어떤 단어가 동일한 어간을 가지고 동일 한 품사를 유지하면서, 그 어미를 여러 가지로 변화시켜 그에 따라 문법적 기능도 변화 하는 현상. morphology 참조.
intonation phrase 억양구: 강세구들이 모여서 만든 보다 상위의 운율 단위.
intoneme 억양소: 여러 가지 억양 요소들로 구성된 언어 내에 있는 기능 단위. 예) 부정 을 나타내는 억양, 의문을 나타내는 억양, 행복을 나타내는 억양
grave accent 억음 악센트: 낮은 악센트로, à, è, ù 등에서`로 표기한다. 불어, 독일어, 프랑스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grave 참조.
grave 억음(抑音): 후모음, 연구개, 양순음 등과 같이 구강의 뒤쪽에서 만들어지는 음[+grave]과(articulation 참조) 구강의 앞쪽에서 만들어지는 음[-grave]을 구별하기 위해 Jakobson과 Halle가 제안한 변별적 자질. 반대어는 예음([音, acute)이다.
attempt-suppressing signal 억제 단서: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 경우와 같이 발화는 안 하지만 말을 계속하려는 경우에는 양보단서와 아울러 손동작을 계속함으로써 상방이 말을 시작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함.
suppression condition 억제 조건: 말소리 부분의 음운루프의 성질을 밝히는데 자주 쓰인 조작 중 하나가 조음 억제이다. 이 조작은 기억해야할 항목을 위한 시연을 방해하기 때문에 억제라고 명명되었다.
suppression 억제, 억압: 학습을 통하지 않고, 어떤 반응이 발생하는 빈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나는 수많은 영향 중의 한 가지 영향. 예) 벌로서 작용하는 후속자극(consequence)은 전형적으로 억제는 하지만, 그 다음에 오는 행동을 소거시키지는 않는다. 벌을 주는 후속자극을 주지 않으면, 그 행동은 일반적으로 원래의 발생 비율로 다시 나타나게 된다.
repress 억제, 억압: 자신에게 고통스럽거나 혐오스러운 기억, 사고 또는 느낌을 의식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억누르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