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언어 구조

language structure

language structure 언어 구조: language form 참조.

언어 기능

language function

language function 언어 기능: 말을 하는 이유로, 화자의 목적 및 상황의 전후관계에 따라 사회적으로 인정된 행동들을 선택한다. pragmatics 참조, Linguistic Components 표 참조.

언어 내용

language content

language content 언어 내용: 사람들이 어떤 것에 해서 말한 것과 타인이 말한 것을 이해한 것으로, 이것은 사람들이 사물과 사건에 해서 알고 있는 것과 자신들이 알고 있는 것에 해서 가지는 생각이나 태도와 관련이 있다. Linguistic Components 표 및 semantics 참조.

언어 단위, 언어구조의 기본단위

language units

language units 언어 단위, 언어구조의 기본단위: 음운, 형태소, 음절, 단어, 어절, 구, 절, 문장 등으로 구분되는 언어학의 근저를 이루는 분석단위.

언어 및 청각 과학

speech and hearing science

speech and hearing science 언어 및 청각 과학: 구어의 산출과 수용에 포함된 모든 과정들의 요소들에 대해 연구, 분석, 측정하는 학문. speech science 참조.

언어 병리학, 언어치료학

speech language pathology

speech language pathology 언어 병리학, 언어치료학: 의사소통과 장애, 평가 및 치료를 연구하는 학문. speech pathology 참조.

언어 분화

language differentiation

language differentiation 언어 분화: 두 개 또는 그 이상 언어에 노출되어 자란 아동들 이 자기들이 듣고 있는 것이 두 언어가 조합된 하나의 언어가 아니라 두 개의 다른 언 어라는 것을 알아내는 것트된다. 

언어 사용, 언어 용법

language use

language use 언어 사용, 언어 용법: 언어 사용은 크게 기초 기능과 고등 기능의 두 가 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기초 기능은, 읽기의 경우를 예로 든다면, 거리의 교 통 표지판, 상점 간판, 집 주소 혹은 교과서에 나온 간단한 문장 등을 읽을 수 있는 ' 글 깨치기 수준'으로, 그리고 쓰기의 경우에는 간단한 생각 적기, 받아쓰기 등 머리에 떠오르는 자기 생각이나 다른 사람의 말을 '글자로 옮겨 놓을 수 있는 수준'으로 규정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 기능은 글을 읽고 그 내용이나 구조를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비판하는 수준, 그리고 자기 나름로 상황을 고려하면서 아이디어를 모으고 조직하고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language function 참조

언어 사회화

language socialization

language socialization 언어 사회화: 아동이 사회적으로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하는 것 을 배우는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