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l nasal concha 중비갑개: 사골 미로(labyrinth)의 안쪽 벽으로부터 시작하고 코의 중간 관(middle meatus)으로부터 위비갑개와 나누어지는 위쪽으로 구부러진(upcurved) 가장자리를 가진 2개의 뼈로 된 판 중 아래쪽에 있는 조금 큰 판. Syn: medial turbinated bone. nasal concha 참조.
nasomedian processes 중비돌기: 윗입술의 앞부분과 전상악이 될 배아기의 원시 조직.
scalenus medius muscle 중사각근, 중간목갈비근: 사각근의 중반부 근육.
middorsum palatal stop 중설 구개 파열음: 구강 앞쪽에서 총생 치아 과밀(crowding)이 있는 경우 이를 보상하기 위해 흔히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조음 산출 유형으로, 혓몸의 중간 부위 증설과 경구개의 중간 부위가 폐쇄하였다가 개방되면서 산출되는 파열음이다. 대개는 치경음 /t/와 /d/와 연구개음 /k/와 /g/를 대치하여 산출되지만, 치찰음 /s/, /z/, /sh/, /ch/, /j/을 대치하여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구개-혀 산출(palatal dorsal production)이라고도 한다.
central consonant 중설음: 자음을 발음할 때 혀의 위치를 입천장 중간에 두고, 가운데 부분으로 공기가 나가면서 나는 소리. 우리말에서 종성 ‘ㄹ’을 제외하고 모든 자음이 중설음에 속한다.
central vowel 중성 모음: 양입술을 일반적으로 둥글게 하지 않고서, 혀를 입의 중앙 가 까이에 오도록 조정하여 낸 모음. 미국영어에서, /ɝ, ʒ/, /ʌ/, /ɚ, ə/, /ə/ 등이다. vowel 참조.
neutralization 중성 음화, 시제 중화: 1. 언어학에서 두 개 음소들이 가지는 다른 변별적 자질들이 일시적으로 흐려짐; 예) 'tie'에서 /t/와 'die'에서 /d/는 서로 다른 기능을 제공하지만, 'wetting'에서 /t/는 종종 'wedding'에서 /d/음으로 발음되어져서, 이 두 단어가 같은 소리로 남. Syn: obscuration. assimilation 참조. substitution 참조. 2. 한 문장에 연속적인 사건을 나타내는 과거 시제가 연달아 나올 때 처음 시제만 과거로 표시하고, 그 이후 과거는 현재형으로 나타내는데 이를 시제의 중화라고 한다.
mid register 중성구: 목소리의 음역에서 높은 성구와 낮은 성구 사이에 있는 가운데 성구를 말한다.
obscure vowel 중성모음: 애매한 모음. neutral vowel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