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ational measures 지속시간 측정: 지속되는 특정한 시간주기
duration 지속시간, 머무르는 시간: 1. 청취할 수 있는 소리의 길이로서 다음 말을 알아 들을 수 있을 동안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고, 밀리세컨드(milisecond, 1/1000초)로 나타낸다. 말더듬에서, 말더듬이가 말더듬은 단어의 앞 단어의 마지막 음소부터 더듬은 단어의 마지막 음소까지 걸린 시간을 말한다. 말더듬 행동에서 쉼이나 폐쇄 또는 연장 의 지속시간이 심한 정도의 척도로 사용된다.2. 소리 또는 음절과 음절 사이로 넘어갈 때 걸리는 시간. 구와 구, 문장과 문장 사이로 넘어 갈 때 걸리는 시간. 전체적인 말의 비율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말한다. 음의 지속은 시간상에서의 음의 연장이다.
persistent vegetative state 지속식물상태: 뇌손상으로 인해 각성은 있지만 인지와 정서기능은 부재한 상태. 광범위한 대뇌반구 손상에서 발생함.
consistent aphonia 지속적 무성증: 지속적으로 음성이 산출되지 않는 경우로, 속삭이는 소리로 지각됨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CPAP) 지속적 양압 제공 장치: CPAP 치료법은 사용방법이 용이할 뿐 아니라 비강에 지속적으로 양압을 제공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연인 두 근육의 저항력을 강화시키며, 구어 산출을 하는 동안 CPAP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구어 상황으로 일반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 수면 무호흡 환자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수면 시 호흡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 후에 Kuehn(1991)에 의해 CPAP장치가 비성도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들이 보고되면서, 과 대비성 치료에 있어서 새로운 대안으로 대두되기 시작되었다.
exponential curve 지수 곡선: 곡선이 지수 함수적으로 나타나는 것. x가 지수로 발생하는 f(x) = ax 공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지수 곡선은 지수 함수에 따라 다르고, 임의의 실수인 x 값에 따라 달라진다. a>0이고, a는 1이 될 수 없다.
instructions 지시: 행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구어적 지시
following direction 지시 따르기: 타인의 요청을 빠르게 수행하는 능력. 생후 7~12개월부터 간단한 지시따르기가 가능해지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복잡한 지시를 따를 수 있다. 일반적으로 19~24개월 경 2단계 지시 따르기, 33~36개월부터 3단계 지시 따르기를 수행하게 된다.
deictics gesture 지시 제스처: 요구 또는 서술하기 위해 아동의 의사소통 의도를 표현하 는 것으로 발화의 맥락 내에서 어떤 사물이나 장소 또는 사건을 가리키거나 관심을 끌 기 위해 사용되며, 요구하기 및 보여주기와 같은 도구적 제스처(instrumental gestures)와 가리키기(pointing)가 포함된다. pointing gesture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