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지역방언

regional dialect

regional dialect 지역방언: dialect 참조. 

지연

delay

delay 지연: 1. 발달 과정에서 기능 습득이 늦은 상태. 2. 구어화를 위한 단서를 제공하 여 청자가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것과는 다르게, 환경적인 자극에 대한 아동의 반응을 가르치기 위한 환경적인 접근을 사용하는 기법. 아동이 반응이 없을 때 바로 단서나 모 델링을 제공하지 않고 일정 시간 아동의 반응을 기다려주는 것이다.

지연 개방성

delayed release

delayed release 지연 개방성: 성도에서 폐쇄를 가지고 만들어지는 소리들에만 해당되는 자질로서 개방의 국면이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지연되는 소리들이 갖는 특징

지연 기억

delayed memory

delayed memory 지연 기억: 즉각 기억(immediate memory)과는 다르게 자극에 대하여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 기억하고 인출하는 정신능력을 뜻하고, 일정 기간 후에 기억 된 내용을 평가하는 방법을 지연 기억평가라고 한다. Rey-Osterrieth 복합도형검사, 특 수기억검사(memory assesment scales)에서의 단어지연회상, 문장지연기억, 시각지연재 인, 얼굴지연회상 등을 사용하여 검사할 수 있다. memory 참조. 

지연 반응

delayed response

delayed response 지연 반응: 제시된 자극과 그 자극에 대한 반응 사이에 발생하는 시 간 간격인 있는 반응이다. 이 반응은 고의적인 것이거나 반응을 할 수 없는 능력의 결 과일 수도 있다. response 참조.

지연 언어 프로그램

delayed language programs

delayed language programs 지연 언어 프로그램: 언어장애 아동들을 지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지연 언어 프로그램은 자연적인 접근법이다. 일반아동들이 언어를 획 득하는 방법에 준하여 언어를 학습하도록 하되 진행속도를 아동의 일반적인 발달 속도 및 학습 속도에 맞추는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아동이 의미를 표현할 수 있으려면 먼저 의미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언어습득을 위해 필요한 인지적 기초를 강 조하여 인지 기능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조직한다. 따라서 대상 영속성, 분류, 모방, 사물 표상 놀이를 강조한다

지연 청각 혹은 실험적 지연 청각 피드백

delayed auditory feedback

delayed auditory feedback 지연 청각 혹은 실험적 지연 청각 피드백: 1. 보통 실험 적으로 산출된 시간의 경과로, 자신이 말한 구어 출력이 청각적 입력으로 되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의 경과. 음성치료 및 말더듬 치료에서 사용된다. 2. 화자가 말한 단어 가 약간의 밀리초(millisecond)의 시간 지연 후에 이어폰을 통해서 되돌아오는 시스템. 음성치료와 말더듬 치료에서 사용된다. feedback 참조.

지연 회상력, 지연회상

delayed recall

delayed recall 지연 회상력, 지연회상: 단어의 목록이나 숫자 등을 외워 두었다가 몇 분이나 몇 시간 후 회상해 내는 능력을 말하며 학습 능력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지연 효과

lag effect

lag effect 지연 효과: 정보를 반복적으로 제시할 때 정보 간의 간격이 길어 더 긴 휴식시간이 있으면 정보를 잘 기억하는 현상. 반복 학습만 하기보다, 반복 사이에 시간 간격을 두면서 그 정보를 활용해보는 것이 기억에 더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