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지연청각피드백(기)

delayed auditory feedback(DAF)

delayed auditory feedback(DAF) 지연청각피드백(기): 1. 지연청각피드백 현상을 말 함. 화자가 말을 했을 때, 자신의 말을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청각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말을 듣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더듬 치료에서 많이 사용된다. DAF기를 이용한 말 더듬 치료에서는 청각 피드백 지연 시간을 250msec, 200msec, 150msec, 100msec, 50msec, 0msec의 순서로 적용한다. 정상인의 경우에 DAF기를 착용하고 말을 할 경우 말 더듬과 유사한 구어 형태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인공적인 말더듬(artificial stuttering)이라고 한다. 이 기기는 비유창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유창한 사람에게는 반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사람들은 소리를 들 을 때 그 소리가 귀 또는 두개골에 있는 뼈들을 통해서 자신들의 지연청각시스템을 통 하여 소리를 들을 수 있다. 2. 지연청각피드백을 이용하는 기기를 말함. DAF기를 사용 할 때 말하는 사람과 자신이 말하는 것을 듣는 것 사이에 시간적 지연이 있으면, 자연 스럽게 이루어지는 언어연쇄(speech chain)가 깨어진다. 이러한 지연을 화자가 말을 계 속하기 전에 자신이 말하고 있는 것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어속도를 낮추게 될 것이다. 매우 빠른 구어속도로 인해 비유창성이 일어나는 것처럼 환자가 말을 천천 히 하면, 그는 종종 더욱 유창하게 말을 할 수 있다. 이 기기는 운동구어장애, 실성증, 또는 속화자들에게도 사용될 수 있다. feedback 참조.

지연피드백 청력측정

delayed feedback audiometry(DFA)

delayed feedback audiometry(DFA) 지연피드백 청력측정: 헤드폰을 통해 환자의 귀 로 돌아오는 실험적으로 부과된 청각신호의 지연에 의해 기능적인 청력손실과 진짜 기 질적 역치의 유사성 여부를 확인하는데 사용하는 절차. 환자가 이어폰을 쓰고 동시 피 드백 상태에서 글을 낭독한 것과 지연피드백 상태에서 매치시킨(matched) 글을 읽은 것 을 비교한다. 또한 운동과업(motor task)으로 순음을 들려주고 키를 태핑하게 한다. 환 자가 매번 태핑할 때마다 환자에게 순음의 소리(bursts)를 내는 전자키를 단순한 리듬 패턴으로 태핑하라고 환자에게 지시한다. 그리고는 순음 신호를 지연조건으로 변경한 다. 이런 유형의 검사는 환자가 비유창해지게 되거나(검사하는 절차 동안에) 또는 태핑 패턴을 잊어버리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audiometry 참조

지원강화자

back-up reinforcer

back-up reinforcer 지원강화자: 어떤 자극이 다른 강화자극과 짝지워짐으로써 강화자극이 될 때, 그 다른 강화자극을 말한다. 예를 들면 토큰 강화 프로그램에서 토큰과 교환할 수 있는 매력적인 물건이 지원강화자이다. 대상자가 긍정적인 행동을 통해 토큰을 모을 수 있고, 토큰을 일정 갯수 이상 모으면 좋아하는 지원강화자와 교환하도록 하여 긍정적인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지원고용

supported employment

supported employment 지원고용: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정규 작업장에서 일자리를 찾고, 일을 배워서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개별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

지원적 상호작용

scaffolded interaction

scaffolded interaction 지원적 상호작용: 교사나 치료사들의 긍정적인 피드백과 학습 회기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 

지위지향적 통제 유형

position-oriented control

position-oriented control 지위지향적 통제 유형: 부모가 아동의 행동을 통제할 때 사회적 지위(연령, 성, 세대, 신분 등)에 의존하여 통제하는 유형이다. 

지적 결함

intellectual deficits

intellectual deficits 지적 결함: 지적 기능과 개념적, 사회적, 실제적 적응 기술로 표현 되는 적응행동에 있어서의 심각한 제한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애로 18세 이전에 나타난 다. 지적 기능과 적응행동에서의 심각한 제한은 주로 표준화된 IQ 검사도구와 적응행동 검사 도구를 실시하였을 때 전체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적어도 2표준편차 이하, 지능지 수인 경우는 70~75 이하를 보일 때를 기준으로 한다. intellectual disability 참조.

지적 기능성

intellectual functioning

intellectual functioning 지적 기능성: 지적 능력 혹은 지능보다 더 광범위한 용어로, 무 엇이 지적인 행동으로 간주되는가는 인간 기능성의 다른 차원들이다. 개인이 나타내는 적응행동, 개인의 정신적 및 신체적 건강 상태, 생활의 주요 활동들에 참여할 기회 그 리고 사람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맥락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지적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intellectual disability 지적장애: 지적 기능성과 개념적, 사회적 및 실제적 적응기술로 표 현되는 적응행동 양 영역에서 유의한 제한성을 가진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장애. 이 장 애는 18세 이전에 시작된다. 다음의 5가지 가정들이 필수적이다. ①현재 기능성에서의 제한성은 한 개인의 동년배와 문화에 전형적인 지역사회 환경 맥락 안에서 반드시 고려 되어야만 한다. ②타당한 평가는 의사소통, 감각, 운동 및 행동적 요소들에서의 차이뿐 만 아니라 문화적 및 언어적 다양성을 고려한다. ③한 개인 안에서 제한성은 강점과 자 주 공존한다. ④제한성을 묘사하는 중요한 목적은 필요한 지원의 프로파일을 개발하는 것이다. ⑤적합한 개별화된 지원이 장기간 주어지면, 지적장애인의 생활 기능성은 일반 적으로 향상할 것이다. intellectual deficits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