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 사전

언어치료학사전

새용어 등록

지적장애

mental disability

mental disability 지적장애: 정신지체 대신에 지적장애를 선호하게 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다음의 5가지가 가장 주요한 원인이다. ①지적장애는 미국지적장애협회(AAIDD)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기술하고 있는 변화된 개념을 반영한다. ②지적장애는 기능적 행동들과 상황적 맥락적 요인들 모두에 초점을 두고 있는 현재의 전문적인 실제들과 조화된다. ③지적장애는 사회-생태학적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개별화된 지원 제공을 위한 근거를 논리적으로 제시한다. ④지적장애는 장애인들에게 덜 불쾌한 용어이다. ⑤지적장애는 국제적인 용어 사용의 추세에 보다 더 일치한다. mental retardation 참조.

지적장애

amentia

amentia 지적장애, 정신착란: 선천적 혹은 발달성 요인의 결과일 수 있는 정신손상에 한 일반적 용어.

지적장애 지원 유형

typ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upport

typ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support 지적장애 지원 유형: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협회에서 제시한 지적장애인의 지원 강도에 따른 유형. ① 간헐적(intermittent)지원: 필요할 때 혹은 위기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제공되는 지원. ② 제한적(limited)지원: 제한된 일정 시간 동안 일관성 있게 제공되는 지원. ③ 확장적(extensive)지원: 몇몇 환경에서 정기적으로 제공되는 지원. ④ 전반적(pervasive)지원: 항구성을 가지는 고강도의 지원을 지속적으로 거의 모든 환경에 걸쳐 제공하는 지원. 최근에는 미국 지적장애 및 발달장애 협회에서 이러한 지원 유형 분류보다는 인간 기능성의 모델에 근거한 다차원적 분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지원 빈도, 지원 시간, 지원의 유형이 어떠한지를 평가하도록 하는데, 각 개인의 특성에 맞도록 지원한다는 측면을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지적장애, 정신지체

mental retardation

mental retardation 지적장애, 정신지체: 지적장애는 유의하게 낮은 지능, 적응행동(예:의사소통, 자기 보호, 가정생활, 사회적 기술, 지역사회 활용, 자기 관리, 건강과 안전, 기능적인 학업, 여가 그리고 작업)의 유의한 결함 또는 장애, 18세 이전의 발현으로 정의된다. 지능 정도에 따라 경도 지적 장애 IQ(50~69), 중등도 지적 장애(IQ35~49), 고도 지적 장애(IQ 20~34), 최고도 지적 장애(IQ 20 미만)로 분류한다. "유의한 평균이하"라는 것은 지능 검사의 평균보다 2표준편차 이하에 있는 IQ를 말한다. Psychological Classifications of Mental Retardation 표 참조.지적장애의 심리학적 분류(merican Association of MentalDeficiency, 1977) 분류 Stanford-Binet and Cattell Wechsler Scales 경도(mild) 67-52 69-55 중도(moderate) 51-36 54-40 고도(severe) 35-20 39-25 최고도(profound) 19 이하 25 이하 

지적하기, 가리키기

pointing

pointing 지적하기, 가리키기: 손가락 따위로 어떤 방향이나 대상을 집어서 보이거나 말하거나 알리는 것. 

지주막하 공간

subarachnoid space

subarachnoid space 지주막하 공간: 뇌척수액(CSF)를 담고 있고 지주막으로 둘러 싸여진 공간. 소낭성 동맥류(berry aneurysms)(cerebrovascular accident 참조)로 인해 지주막하 공간으로 혈액이 흘러들어 갈 수 있다.

지주어

prop word

prop word 지주어: 형용사에 붙어 명사화된 말. 의미론적 내용은 거의 혹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다.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one(또는 복수 형태의 ones)가 지주어로써 사용된다.

지지 치료

supportive therapy

supportive therapy 지지 치료: 대상자가 느끼는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치료사가 적극적으로 지지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통해 대상자가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적응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담 접근 방법이다.

지지된 공동 참여하기

supported joint engagement

supported joint engagement 지지된 공동 참여하기: 아동의 주의를 끌기 위해 성인이 여러 기법들을 사용하여 공동으로 주의집중하도록 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