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phyxia 질식: 생명유지에 필요한 산소가 어떤 원인으로 생체에 결핍되는 상태. 이 때 문에 사망하면 질식사라고 한다. asphyxia라는 말은 그리스어의 결핍을 나타내는 접두 사 a와 심장이 두근거린다는 뜻의 sphyzo로 이루어진 말이다. 질식은 폐호흡(외호흡)의 환기측 장애, 또는 조직호흡(내호흡)의 혈류측 장애에 기인하는데, 법의학적으로는 공 기호흡의 기계적 저해, 곧 비구부(鼻口部)와 경부, 또는 흉곽 외부로부터의 압박, 이물감, 입이나 액체침입에 의한 기도의 폐색 혹은 협착 등에 의한 환기부전(폐호흡장애)을 말한다.
qualitative research 질적 연구: 어떠한 현상을 최대한 그 본래 입장에서 접근하는 연구의 한 방법. 양적 연구와 대비를 이룬다. 양적 연구(quantitative research)에서는 특정 처치를 하면 어떤 것이 일어나는가를 연구하지만, 질적 연구는 사람들은 어떻게 행동하며, 그런 일들이 어떻게 일어나고, 사람들은 어떻게 묘사되는지 등에 관심을 갖는다. 연구자의 직접적인 경험과 직관적인 통찰을 통하여 인간의 동기와 의도, 상호관계를 이해하려는 연구방법이다. 연구결과보다 과정에 중점을 두며 연구자료를 귀납적으로 증명하는 경향이 있다.
quality indicators 질적 지표: 양질의 단일대상연구에서 갖추어야 할 중요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는 지표.
pinch grip 집기: 엄지와 검지가 일차적으로 사용되고 정밀함을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encounter groups 집단 감수성 훈련: 사회적 기술(social skills)이 부족한 사람들에 게 사용되는 감수성 훈련의 한 형태. 그룹의 구성원들을 두 사람씩 짝지은 후 자기 자 신과 관련된 가장 중요한 것들에 대해 약 1분 동안 말하게 하고, 서로 자기가 자랑스러 워하는 것 두 가지와 부끄러워하는 두 가지를 말하게 한다.
cohort studies 집단 연구: 특정 인자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을 계속 추적 해 나가면서 그런 인자가 과연 연구자가 보고자 하는 결과를 일으키는지를 알아보는 연 구이다.
group-oriented contingency 집단 중심 유관강화: 행동관리나 행동수정의 한 형태인데, 몇 명의 선택된 학생이나 전체 학생의 행동에 따라서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후속결과(즉, 보상이나 벌칙)를 적용하는 절차
group audiometer 집단 청력검사기: 동시에 많은 사람의 청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고안되었고, 한 쌍 이상의 헤드셋(headset)을 사용한다. 순음이나 말로 음향자료를 동시에 여러 사람들에게 제시하는데, 이 절차에서 각 개인은 검사항목을 들을 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줄 수 있다. audiometry 참조.
group audiometry 집단 청력측정: 순음 또는 어음검사 도구에서의 집단 동시검사는 각각의 사람들에게 마치 검사문항을 듣는 것처럼 신뢰할 만한 정보를 주는 검사이다. 보통 선별검사로만 사용된다. group audiometer 참조.